▐ 필리핀 생활/메트로 마닐라174 [필리핀 마닐라] 2월의 마지막 날, 말라테 거리 풍경 코로나19 따위는 우리는 잘 모르는 일이에요! 로빈슨 쇼핑몰 앞은 복잡하기 짝이 없었다. 마치 코로나19가 이곳에만 침범하지 않은 듯 평소와 다를 바 없다. 차도 사람도 잔뜩이라 "말라떼는 역시 말라떼"라는 말이 저절로 튀어나올 정도이다. 만날 조용한 집에만 있다가 오랜만에 복잡한 곳에 나와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쇼핑몰 앞이 어찌나 복잡하게 느껴지는지 지끈지끈 골치가 아파지는 느낌이다. 대체 얼마를 받고 어떤 일을 주로 해주는 것일까. 로빈슨 쇼핑몰 앞에 대한공인탐정연구협회 간판이 붙어 있는 것은 신기했지만, 신호를 기다리느냐고 잠깐 머무는 것만으로도 지쳐버린 나는 재빨리 분주한 거리를 빠져나와 레메디오스 서클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말라떼에 마닐라코리아타운(Manila Korea-town)이 개발된.. 2021. 3. 10. [필리핀 마닐라] 몰 오브 아시아에 이케아(IKEA) 간판 구경하러 가기 이케아 필리핀(IKEA Philippines)에서 드디어 건물 외벽에 간판을 달았다. 말이 좋아서 간판이지 이케아 특유의 푸른색 외장재 위로 노란색의 로고가 보이는 정도이다. 하지만 필리핀 사람들 눈에는 이것만 해도 퍽 대견한 모양인지 필리핀 주요 신문에서 모두 열심히 이 일을 기사화했다. 이케아의 개점 날짜가 하염없이 연기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는 하여도 좀 과한 반가움의 표현이다. 매장이 오픈한 것도 아닌데, 건물 바깥에 이케아 글씨 하나 보이게 된 것이 그렇게 큰 호들갑을 떨 일인가 싶다. 하긴, 간판을 달았다는 것은 뭔가 공사의 진전이 있다는 이야기라 나에게도 이 뉴스가 좀 반갑게 들리기는 했다. 진작부터 이케아 매장이 문을 열면 바로 달려가서 서랍장을 하나 사보리라 마음먹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 2021. 3. 8. [마닐라 생활] 신분증 없이 PNB 은행에 가도 되나 요즘 마닐라는 조금씩 더위로 물들고 있다. 여행하기에 가장 날씨가 적합하다는 1월과 2월을 하릴없이 허무하게 보내고, 어느덧 다시 더위의 계절로 가고 있다. 돈을 좀 찾아야 하여 더위를 무릅쓰고 PNB 은행에 갔다가 헉 소리를 내야 했다. 힘껏 은행까지 가서 신분증이 없다는 것을 깨달은 것이다. 저체온증도 아닌데 어찌 된 영문인지 35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나오는 묘한 체온계로 체온을 재고, 번호표까지 손에 든 뒤에야 신분증을 빼놓은 지갑을 보니 헉 소리가 저절로 난다. 다시 집으로 돌아가서 신분증을 들고 오는 일이야 큰일도 아니지만, 코로나19 증상은 없는지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것이 문제였다. 한국에 있는 은행은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필리핀에 있는 은행에서 신분증 없이 돈을 찾은 기억은 전혀 없다. 그러.. 2021. 3. 8.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레가스피 선데이마켓(Legazpi Sunday Market) 마닐라에는 밝고 깨끗하게 단장한 슈퍼마켓이 즐비하지만, 그래도 굳이 마카티의 레가스피 선데이마켓을 찾아가는 것은 선데이마켓만이 가진 독특함이 있기 때문이다. 시장만이 가지는 건강한 활기가 느껴진다고 할까. 오전의 뜨거운 햇살을 천막 하나만으로 막아놓은 시장이지만, 차가운 에어컨의 유혹보다 강한 흡족한 매력이 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물리적 거리두기를 해서야 시장이 가진 즐거움을 오롯이 느끼기 어려워진다. 무릇 시장이란 혼잡스럽게 느껴질 정도로 사람들이 많아야 제맛이거늘, 시장에는 시끌벅적함이 사라져 있었다. 사람과 사람이 만나서 만들어 내는 경쾌한 소음이 사라진 시장을 보는 것이란 어쩐지 소금을 치지 않는 음식을 먹는 기분이다. 신년이면 슬리퍼를 질질 끌고 나가서 차이나타운 근처에서 파는 군밤을 먹어야.. 2021. 3. 7.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의 차 없는 거리에서 즐기는 야외 레스토랑 행사 코로나19로 인한 집콕생활에 지친 사람들을 위해 마카티 시티에서 'Makati Street Meet at Rada & Leviste'라는 행사를 시작했다. 이름 그대로 라다 거리(Rada St.)와 레비스테 거리(Leviste St.)를 중심으로 차 없는 거리를 만들고 거리 위에 테이블을 놓아 식사를 할 수 있게끔 하는 행사이다. 큰 볼거리는 없지만, 그래도 야시장 비슷한 활기찬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원래 마카티 시티에서는 지난 2월 28일에 라다 거리만을 대상으로 Makati Street Meet at Rada 행사를 진행했지만 지역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자 행사 날짜를 늘리고, 레비스테 거리(Leviste St.)까지 행사장을 확장했다. 라다 거리에 있는 와이드 플로워(Wildflour Café .. 2021. 3. 4. [마닐라 생활] 파사이 몰 오브 아시아(MOA) 쇼핑몰 - 2021.02.21 하루하루가 지루한 행보를 하며 느릿느릿 지나갔다. 특별한 일은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건 감사하면서도 무의미하고, 다행스러우면서도 지루한 한 일이었다. 이런 더운 날씨에 어떻게 마스크와 페이스쉴드를 쓰고 다니냐고 투덜댔었지만,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했다. 나는 마스크에 그럭저럭 적응을 해버렸다. 처음으로 바깥에 나가던 날 느낀 어지럼증은 이제 상당히 사라져서, 조금 호흡이 불편한 느낌만이 남았을 뿐이다. 실수로 마스크를 세 개나 겹쳐 쓰고 슈퍼에 가면서도 뭐가 문제인지 모르고 오늘따라 숨쉬기가 좀 더 답답하다고만 여길 정도이니, 내 적응력도 나쁜 편만은 아니라고 할까. 페이스쉴드를 써도 머리가 어지럽지 않다는 것은 다행이지만, 이런 적응이 좀 슬프게 느껴지기도 한다. 1년 만에 몰 오브 아시아(.. 2021. 2. 21. [필리핀 마닐라] 타귁 시티의 고급 묘지 안에서 코로나19 검사받기 3천 페소로 할 수 있는 많은 것들을 생각해보고 돈이 아까운 마음이 들었지만, 뭐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그나마 5천 페소가 아니라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그래도 다른 곳보다는 저렴하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기로 했다. 입맛도 좋고, 냄새도 잘 맡고, 열도 없고, 코로나19의 증상은 전혀 없었지만, 이사를 하려면 코로나19 음성확인서가 필요했다. 새로 이사하는 곳에서는 코로나19 음성확인서가 없으면 입주를 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꼭 항원검사가 아닌 RT-PCR 방법으로 한 검사확인서를 가지고 오라고 했다. 항원검사라면 700페소면 되지만, RT-PCR 검사는 그렇게 저렴하게 검사를 하는 곳이 없었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가격이 싼 곳을 찾아서 필리핀 보건부(DOH)에서 인증했다는 시설을 죄다 뒤지기.. 2021. 2. 17. [필리핀 마닐라] 북적임이 사라진 마카티 그린벨트 쇼핑몰 문을 닫을 시간이 되려면 한참이나 남아 있었건만, 쇼핑몰 안에는 손님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예년 같았으면 밸런타인데이를 앞두고 데이트 나온 커플이 잔뜩이었을 터인데, 흡사 지구 멸망을 다룬 영화 속에 들어와 있는 기분이다. 하긴, 웃고 떠드는 사람이 없어서 서운해 하는 나도 거의 일 년 만에 그린벨트 쇼핑몰 안에 들어와 본 터였다. 머리가 어떻게 되는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 정도로 집 안에만 있다가 더는 버티지 못하고 슬금슬금 외출을 하기는 했지만, 거대한 쇼핑몰 건물 안에 들어가는 일은 내키지 않는 일이었다. 내 옆을 지나가는 사람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은 둘째로 두고라도 마스크와 페이스쉴드가 갑갑하여 숨이 턱턱 막히는 기분이었던 것이다. 코로나19 확진자 .. 2021. 2. 14.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 최초로 미키마우스 만화를 상영했던 곳, 메트로폴리탄 극장 25년 만에 재개관 제1차 대전(1914년 7월 28일~1918년 11월 11일) 후, 사람들은 직선적이거나 기하학적 형태를 미래지향적인 스타일로 인식했다.1920년대에서 30년대에 걸쳐 기초적인 도형의 형태를 이용한 기능미가 유행했고, 뉴욕의 크라이슬러 빌딩처럼 직선적이며 화려하지만 모던한 형태의 건물이 지어졌다. 연속적인 곡선을 사랑한 아르 누보 대신 나타난 기능적이고 고전적인 직선미의 장식 미술을 아르데코(Art Deco) 양식이라고 한다. 필리핀에서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아르데코(art deco) 건축물이라는 마닐라 메트로폴리탄 극장(Manila Metropolitan Theater)이 오는 4월에 다시 문을 연다는 소식이다. 지난 1996년에 문을 닫았었으니 무려 25년 만의 공연이다. 필리핀문화예술위원회(NCCA).. 2021. 1. 17. [필리핀 마닐라] 팻시 클라인과 므두셀라 증후군 귀가 늙지 않기 위해서는 최신곡을 좀 들어야 한다는 말도 있지만, 노화라는 단어보다 성장이란 단어가 더 어울릴법한 나이에도 흑백 화면 속의 노래를 더 좋아했던 나로서는 최신곡을 챙겨 듣기가 쉽지 않다. 아무리 그래도 로드 맥퀸(Rod McKuen)이나 팻시 클라인(Patsy Cline)과 같은 분들의 목소리 쪽이 내 취향에 맞는 것이다. 하지만 그런 나라도 언뜻 들리는 노래가 한국 걸그룹의 노래인 것은 알 수 있었다. 공원 모퉁이 한적한 곳에서 남자가 케이팝 노래를 배경으로 열심히 춤을 추고 있었다. 삼각대 위에 올려진 핸드폰을 열심히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보아 틱톡 동영상이라도 찍는 것 같은데 무엇이 마음에 들지 않는지 똑같은 동작을 거듭 반복하고 있다. 나무 그늘이 있기는 하여도 꽤 더운 날씨인데, .. 2021. 1. 16. [필리핀 마닐라] 레가스피 선데이마켓이 사라진 레가스피 공원 필리핀에는 분명 나무가 많지만, 대도시 지역은 예외이다. 어떻게 보면 한국보다도 녹지공간이 부족한 곳이 필리핀 마닐라이다. 공원이라고 해봐야 리잘파크(Rizal Park)며 아얄라 트라이앵글 가든(Ayala Triangle Gardens), 레가스피 엑티브 공원(Legazpi Active Park) 정도가 있을 뿐이다. 마카티 그린벨트 지역에 가면 초록 공간이 좀 있기는 하지만,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산책로인지라 공원이라고 느껴지지 않는다. 분명 나무가 좀 있기는 하지만, 스타벅스니 시애틀 커피와 같은 간판을 옆에 두고 걷는 일이 자연 속을 걷는 것처럼 느껴질 리가 없다. 어쨌든, 마카티나 보니파시오 하이스트릿과 같은 지역이면 모를까, 잠깐 산책을 하고 싶어도 공원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러니 쇼핑몰 안에.. 2021. 1. 10. [필리핀 마닐라] BPO 산업과 워싱턴 시십 공원(Washington SyCip Park) 마닐라 마카티 시티의 그린벨트 쪽을 걷다 보면 워싱턴 시십 파크(Washington SyCip Park)라는 이름의 공원을 볼 수 있다. 공원 입구에 적힌 워싱턴이란 글씨를 보면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 D.C.에서 그 이름을 가지고 왔을 것 같지만, 사실 알고 보면 이 공원의 이름은 워싱톤 시십(Washington SyCip)이란 사업가의 이름에서 따왔다. 2006년에 아얄라 랜드(Ayala Land)에서 워싱톤 시십이 필리핀 비즈니스에 공헌한 바를 인정하여 이 공원을 만들었다. 85번째 생일에 필리핀 경제의 심장부라는 마카티 시티에 있는 공원에 자신의 이름을 붙인 워싱톤 시십(1921년 6월 30일~2017년 10월 7일)은 차이나뱅크(Chinabank)의 설립자 중 하나였던 알비노 시십(Albino S.. 2021. 1. 10. [필리핀 마닐라 생활] 10페소의 귤과 싸구려 기름 냄새 싸구려 기름 냄새가 거리를 잔뜩 차지하고 있었다. 여러 번 사용한 흔적이 역력한 기름의 냄새였다. 그래도 그 냄새가 고약하게 느껴지지 않는 것은 참으로 오랜만에 맡는 냄새였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마스크만 쓰고 있지 않다면 2019년 혹은 2018년과 똑같이 보일 날이었다. 점심시간을 앞두고 있어서인지 닭 껍질을 튀겨서 파는 리어카의 아줌마도, 로컬 깐띤(Canteen)의 아저씨도 모두 분주했다. 나는 마닐라의 거리를 생전 처음 보는 사람처럼 사람들에게서 시선을 떼지 못했다. 바이러스가 무서워서 사람들 가까이 가지도 못하고, 길 건너에 서서 영화를 보듯 한참이나 사람들의 움직임을 바라보다가 약속 시간이 다 된 것을 깨닫고 아쉬운 듯 자리를 떴다. 볼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 집으로 가는 발걸음이 바.. 2021. 1. 5. [필리핀 마닐라 생활]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벽화(+말라떼 요즘 풍경) 블로그니 유튜브와 같은 SNS를 하게 되면 별일도 아닌 것을 침소봉대하여 알리고 싶은 욕망에 시달리게 된다. 방문객 또는 팔로워를 늘리기 위하여 제목에 경악이나 공포, 충격과 같은 억센 단어를 좀 집어넣고 싶어지는 것이다. 하지만 대관절 살면서 그렇게 놀라운 일이 얼마나 자주 있겠는가. 요즘 내게 있어 가장 놀라운 일은 지난 3월 이후 여행을 떠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 그것 하나이다. 마닐라 시티에서 운영하는 페이스북에 11월 30일 보니파시오 데이(Bonifacio Day)를 맞이하여 마닐라 시청 앞의 안드레스 보니파시오 벽화(Andres Bonifacio Murals)를 새로 단장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손상된 부분을 보수하고, 색도 깨끗하게 새로 칠했다는 것이다. 마닐라 시청의 페이스북을 운영자야 그.. 2020. 12. 30. [필리핀 마닐라 생활] 몰 오브 아시아와 시티오브드림 요즘 풍경 발바닥에 검은 굳은살이 생길 정도로 길거리를 돌아다니면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기가 취미이자 즐거움이던 인간인지라 집에서만 보내는 시간이 쉽지 않다. 애써 아니라고 생각해보지만 상당한 우울감이 마음 한쪽을 떠나지 않는다. 우울감 때문인지 혼잣말이 상당히 늘었는데 물건과 이야기를 나누는 일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라는 글을 보고 상당히 안심했을 정도이다. 물건과 이야기해서 벽이 대답을 해주지 않는다고 화가 나면 정신과 상담을 받는 것이 좋지만, 물건에게서 대답을 요구하지 않으면 뇌가 계속 새로운 자극을 찾는다는 신호일 뿐이라나. 다행히 아직 대답이 기다려지지는 않고 있다. 목요일 저녁부터 토요일까지, 온종일 잠을 자는 것으로 크리스마스를 보내고 나니 코로나19 감염으로 죽기 전에 우울감으로 사망하겠다는 자조적.. 2020. 12. 30. [필리핀 마닐라 생활] 라자다(lazada) 쇼핑몰에서 마스크 구매하기 마음의 우울함은 6월의 비와 같아서 이슬비처럼 내리다가도 이내 곧 작달비가 될 가능성이 높다. 가만히 있으면 한없는 우울함에 침식될 우려가 있는 터라 애써 기분 전환에 나서 보기로 했다. 하지만 말이 쉬웠으니, 대체 어떻게 기분 전환을 할 수 있다는 말인가? 귀찮음 병을 버리고 적극적인 자세로 기분 전환에 나섰지만, 빈 벽이라고는 보이지 않는 좁은 집 안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매우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물건의 소유를 극도로 두려워하는 편이라 쇼핑을 즐기는 편은 아니지만, 간신히 떠오른 기분 전환의 방법은 결국 쇼핑이었다. 코로나19 시대에 걸맞게, 내 머릿속에 떠오른 쇼핑 품목은 마스크였다. 중국에서 시작된 코로나19 때문에 집 밖으로 나가지 못하여 마음이 우울한 주제에 중국에서 생산된 마스크를.. 2020. 12. 27.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시네마 스퀘어와 100페소 페이스쉴드 옆집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생겼다는 안내문을 본 뒤 극도로 외출을 꺼리는 생활을 무려 10개월 가까이했더니 마음이 완전히 지쳐버렸다. 밖에 나가면 바로 코로나19에 걸려서 죽는다는 식의 극단적인 생각은 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예전처럼 목적없이 거리를 돌아다닐 마음은 생기지 않는다. 코로나19 따위에 걸려서 필리핀에서 갑자기 죽게 된다면 대체 누가 내 시신이라도 수습해주겠는가 하는 우울한 걱정 때문이다. 필리핀 정부에서 외출 시 무조건 마스크와 페이스쉴드를 쓰라고 하는 것도 바깥나들이를 꺼리게 되는 직접적인 이유로 하나 추가되었다. 요즘 필리핀 사람은 너 나 할 것 없이 하나씩 가지고 있는, 나의 멋진 20페소짜리 페이스쉴드는 품질이 무척 형편없었다. 20페소란 벌기는 어려워도 쓰기란 손쉬운 돈이다. 20.. 2020. 12. 22. [필리핀 마닐라 생활] 랜더스 슈퍼스토어 슈퍼마켓 요즘 풍경 호세 마리 찬 아저씨가 부르는 캐럴 듣기도 귀찮을 만큼 마음이 우울한 요즘이라 크리스마스 분위기 따위는 하나도 느껴지지 않지만, 그래도 크리스마스는 크리스마스이다. 친구 왕완딩 씨에게 줄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야 한다는 핑계로 실로 오랜만에 슈퍼마켓 나들이에 나섰다. 내 목적지는 랜더스 슈퍼스토어(Landers Superstore). 회원제 쇼핑몰이라서 에스엠 슈퍼마켓(SM Supermarket)이나 로빈슨(Robinsons)보다는 덜 붐비리라 생각하고 방문했는데, 나와 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 많았나 보다. 일부러 좀 늦은 시간에 갔음에도 불구하고 예상한 것보다 손님이 많기도 하다. 물론 작년과 비교하면 사람이 10분의 1도 보이지 않는다. 마스크와 페이스쉴드를 쓰고, 체온을 재고, 손 소독제로 손을 한번.. 2020. 12. 16. 이전 1 2 3 4 5 6 7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