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손섬 여행47 [필리핀 여행] 여행사를 통하지 않고 피나투보 화산에 직접 가면 투어비가 더 저렴할까? 마닐라나 클락 여행 중 피나투보 화산 투어를 하려고 여행사로 비용을 문의하면 다른 데이투어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금액이 상당히 비싼 것을 알 수 있다. 렌터카를 빌리지 않고 직접 베이스캠프까지 방문한다고 해도 투어 비용이 그렇게 저렴해지지는 않는데, 4x4 사륜구동차를 빌리는 금액 자체가 비싸기 때문이다. 피나투보는 카파스와 보틀란 지역에 걸쳐 있는데 환경세 등의 명목으로 이들 지방정부에 내야만 하는 세금도 적지 않다. 조금이라도 경비를 아끼고자 차량을 빌리지 않고 직접 피나투보 화산에 가려고 한다면 웨이즈나 구글맵에 'Sta. Juliana Barangay Hall'을 목적지로 설정하고 산타 줄리아나 마을(Sta. Juliana, Capas, Tarlac)로 가면 된다. 평일이라면 대부분 사전 예약 없이.. 2021. 6. 13. [필리핀 팔라완] 쿠요섬과 방카 보트 안에서의 출산 필리핀 여행 중 일로일로에서 팔라완을 가면서 비행기를 타지 않고 배를 타면 24시간 정도 걸리는데, 운이 나쁘면 아주 시설이 후진 배를 타게 될 수도 있다. 가장 비싼 침대칸 표를 사도 매우 좁은 곳에서 몸을 웅크리고 있어야 해서 시설이 후지다고 평가하는 것은 아니고, 화장실 주변으로 바퀴벌레가 엄청나게 살고 있기 때문이다. 세면대 주변까지 바퀴벌레가 잔뜩이라 자연스럽게 물 마시는 일을 최소한으로 만들게 된다. 하지만 그런 배의 허술함 따위는 까맣게 잊고 말 정도로 좋은 일도 있다. 그 일은 팔라완으로 가는 길에 쿠요라는 어여쁜 이름의 섬에 잠깐 들린다는 것이다. 쿠요섬(Cuyo Island)은 섬에 들르는 시간이 몇 시간밖에 되지 않음이 너무도 아쉬울 만큼 어여쁜 섬으로 필리핀 하면 떠오르는 모든 좋은.. 2021. 4. 20. [필리핀 수빅] 인플레이터블 아일랜드(Inflatable Island) 튜브형 워터파크 재개장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라고 했던가. 실제 가보면 좀 실망이지만,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 보면 상당히 멋진 장소가 있다. 수빅 근처 올롱가포의 삼바비치(Samba Beach)에 있는 인플레이터블 아일랜드(Inflatable Island)도 그런 곳 중 하나이다. 이곳은 바다 위에 공기주입식 튜브형 놀이기구를 설치하여 만든 놀이공원으로 지난 2017년 문을 열었다. 오픈하자마자 인스타그램 사진의 명소로 대단히 인기를 끌었는데, SNS에서 올라온 사진을 보면 한결같이 상당히 근사하다. 하지만 실제로 가보면 사진만큼 근사하지는 않다. 유니콘이며 헬로키티 등의 모양으로 만들어진 놀이기구가 멋지지 않다기보다는 워낙 바다가 넓어서 좀 휑한 느낌을 받게 된다. 하지만 바다에서 즐거운 한때를 보내기는.. 2020. 10. 28. [필리핀 바탕가스 여행] 빈토르와 여섯 마리의 새끼돼지 바다를 바로 옆에 끼고 있었지만, 물이라고는 한줄기도 보기 힘든 척박한 야산이었다. 3월의 뜨거운 바람이 산자락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아직 점심때도 되지 않았건만, 더위조차 나무 그늘로 숨어들고 있었다. 되도록 그늘로 걸었지만 이내 온몸에 땀이 흘렀다. 그래도 예전보다 길이 좀 더 길답게 되어 있었다. 시간의 흐름 속에서 사람의 발자국이 만든 길은 좁아도 단단했다. 게다가 산꼭대기에 사는 누군가 이 산자락 틈으로 수도관을 연결해 놓고 있었다. 값싼 재질의 푸른색 수도관이 내게 훌륭한 길 안내자가 되었다. 몇 번이나 발걸음한 산길이라 해도 내 기억력이란 신통하지 못했다. 갈림길에서 잠깐 방향을 잃었지만, 수도관을 따라가면 되었다. 길을 안다고 해도 슬리퍼를 질질 끌고 걷기는 확실히 더운 날이었다. 발가락.. 2020. 5. 26. [필리핀 클락] 클락 박물관과 1904년에 미군 사령관이 살던 집(barn houses) 학교 다닐 때 꼴등을 도맡아 하던 아이가 부모가 되어 자식들에게 공부하라고 잔소리를 하는 경우를 가끔 보게 되는데 내가 딱 그런 식이다. 그동안 여행을 어떻게 준비하면 좋은가에 대한 글을 상당히 많이 썼지만, 그렇다고 하여 내가 준비성이 뛰어나다는 것은 아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내 준비성은 평균 이하이다. 어딜 가면서 뭔가 조사하거나, 확인하는 일은 거의 하지 않는다. 당장 내키는 기분대로 즉흥적으로 움직이면서 대체 몇 시에 문을 여는지조차 확인하기를 귀찮아한다. 언젠가 한 번은 배가 출발하는 시간표도 보지 않고 항구에 갔다가 그다음 날에야 배에 탄 적도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그런 실수나 고생이 내게 큰 교훈이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수를 저질러 놓고도 덕분에 색다른 것을 보게 되어서 즐거웠다고 생각.. 2020. 2. 11. [필리핀 마닐라 근교 여행] 500페소로 웨이크보드 즐기기 - 데카웨이크 클락 케이블 파크(Decawake Clark Cable Park) 1960년대는 한국이 단기간에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시기였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가운데 하나였던 곳에서 10년 동안 연평균 41%의 놀라운 수출 신장을 기록하였으니 그야말로 경제 기적이었다. 서울 평화시장의 여공들이 열악한 노동조건을 견디면서도 나라의 경제발전에 기여할 때, 미국은 어땠을까? 췌장암으로 시한부 인생을 선고받았지만, 인생을 긍정적으로 살라는 교훈를 남겼던 랜디 포시 카네기멜런대 교수가 그의 마지막 강의(The Last Lecture)에서 한 이야기를 빌리자면, 미국의 1960년대는 모든 것이 가능해 보이는 시기였다. (랜디 포시는 1960년에 태어났다) 전쟁 후에 팽배했던 나태함과 미국에 대한 환상에 일격을 가한 투쟁과 저항의 시대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그래도.. 2020. 1. 7. [필리핀 클락] 나용 필리피노(Nayong Pilipino) 테마파크가 시티오브드림 쪽에 생긴다고요? 2002년 이전부터 필리핀 생활을 했던 사람에게 필리핀 문화를 볼 수 있는 테마파크 이야기를 하면 나용 필리피노(Nayong Pilipino. 타갈로그어로 '필리핀인 마을'을 의미)를 떠올리는 이가 많다. 마닐라공항 근처에 있어서 손님 잠깐 구경하러 가기에 괜찮았었는데 지금은 문을 닫았고 클락(Clark)에도 옮겨갔다는 식으로 기억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여름, '나용 필리피노 클락(Nayong Pilipino Clark)'이 대규모의 개보수 공사를 한 뒤 '나용 클락 파크(Nayon Clark Park)'로 이름을 바꾸고 다시 문을 연다는 소식이 들렸다. 신문에 나온 개장 일자는 2019년 10월 28일이었다. 동남아시안게임(SEA 게임)의 개최일이 11월 30일이었으니 경기 전에 클락에 무언가를 만.. 2020. 1. 6. [필리핀 마닐라 근교 여행] 스페인 식민지 시대로의 시간 여행, 라스 카사스 필리피나스 데 아쿠자르 스페인 식민지 시절 지배층이 살았던 집은 얼마나 호화로울까? 1898년 12월 10일 파리조약을 통해 미국은 필리핀 통치권을 갖게 된다. 스페인에 양보의 대가로 2,000만 달러를 지급하고 필리핀의 통치권을 갖게 된 것이다. 미국의 식민지가 되기 전까지 필리핀은 무려 3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스페인의 식민지 지배를 받았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스페인 사람들의 문화는 언어에서부터 시작, 의복과 문화, 경제, 주거 형태 등에 이르기까지 필리핀 사회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쳤다. 1898년부터 1946년 사이 미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미국 문화의 영향을 받기도 했지만, 스페인 지배를 워낙 오래 받다 보니 스페인 문화의 흔적은 생활 곳곳에 고스란히 남아 있다. 필리핀에서 스페인 시절의 모습이 남아 있는 곳을 여행.. 2019. 12. 10. [필리핀 마닐라 자유여행] 카비떼의 작은 테마파크, 진저브레드 하우스(The Gingerbread house) 예술가가 유명해지기 위해서 꼭 다작할 필요는 없다는 것은 작곡가 비제만 봐도 알 수 있다. 비제가 작품을 적게 썼다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카르멘'과 '아를르의 여인' 두 작품만으로도 비제라는 이름 두 글자를 널리 세상에 알렸다. 하지만 카르멘이란 작품이 유명해진 것은 비제가 죽은 뒤라고 하니, 비제는 죽고 나서 생기는 것들이 무슨 소용이냐는 말을 증명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음악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린아이였을 때부터 피아노에 소질을 보이면서 음악가의 길을 걸었던 비제는 스승의 딸과 결혼하여 죽기 전까지 매우 평온한 삶을 살았다고 하니, 충분히 행복하지 않았을까 싶다. 살아 있을 때 자신의 작품이 유명해지는 광경을 보지 못했음은 아쉬운 일이지만, 죽은 뒤라도 유명해지길 원하는 이가 보면 매우 복 받은 삶.. 2019. 9. 8. [필리핀 바탕가스 자유여행] 세계 최고 높이의 성모상, 몬테마리아(MONTEMARIA) 깔끔하면서도 어수선한 느낌을 동시에 주는 동네였다. 특별한 것도 혹은 특별하지 않을 것도 없는 동네는 일요일 아침을 느리게 시작하고 있었다. 그 복잡함을 뒤로하고 시내를 빠져나오자 바다가 보였다. 바닷가를 끼고 길게 쭉 뻗은 길은 보기만 해도 상쾌했다. 코발트 색 물감을 풀어놓은 듯 진한 바다색은 시선을 떼기 어려울 정도로 매우 아름다웠다. 바다 색깔은 필리핀 그 어디에 있는 바다와 견주어 봐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아름다웠지만 높은 파도 때문인지 놀러 나온 사람은 한 명도 보이지 않았다. 하늘을 정면으로 바라보기 어려울 정도로 날씨가 쨍하고 화창한데도 파도가 이렇게 거칠다면 비가 내리면 어떤 풍경이 될지 짐작도 되지 않는다. 게다가 해안가를 차지한 것은 고운 모래사장이 아닌 커다란 조약돌이었다. 아무리 .. 2019. 9. 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