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895

[필리핀 생활] 필리핀 중앙은행(BSP)의 동전교환기로 페소 동전을 지캐시로 교환하기 필리핀 마닐라에서 생활하면서 재래시장을 다니다 보면 동전이 생길 수밖에 없다. 집 어딘가에 페소와 센타보 동전을 잔뜩 가지고 있다면 몰 오브 아시아나 메가몰 등에 갔을 때 동전을 지캐시로 교환하여 사용해 보자. 필리핀 중앙은행(BSP)에서 운영하는 동전교환기(CoDM)를 이용하여 동전을 지캐시(GCash)로 교환할 수 있다. 코인 디포짓 머신(Coin Deposit Machine)이라고 부르는 이 동전교환기는 필리핀 중앙은행(BSP)에서 운영하는 것으로 수수료 없이 동전을 지캐시로 교환할 수 있다. SM쇼핑몰나 페스티발몰에 비치된 동전교환기를 사용한다면 해당 쇼핑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품권(shopping voucher)으로도 교환이 가능하다. 페소는 물론 센타보 동전까지, 필리핀 BSP에서 발행한 모.. 2024. 1. 12.
[필리핀 경제] 산업별 명목 GDP 비중: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GDP 기여도 비교 필리핀 산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제조업이 취약하고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높다는 점이다. 필리핀에서는 국내총생산(GDP) 구성 부문을 크게 ▲농림어업 부문 ▲제조업을 포함한 공업 부문 ▲서비스산업 부문으로 나누고 있는데 서비스업이 전체 GDP의 60%를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서비스업과 해외근로자(OFW)의 송금이 필리핀 경제를 지탱하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필리핀 산업구조 2022년을 기준으로 필리핀의 산업별 GDP 기여도(산업별 명목 GDP 비중)는 아래와 같다. 필리핀 통계청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2023년 3월을 기준으로 전체 고용 인구의 59%를 서비스 부문에서 차지하고 있다. 농림어업과 공업 부문이 각각 23.5%와 17.5%를 차지한다. 2022년 GDP (1페소= 23.45원) .. 2023. 12. 31.
[필리핀 경제] 옛날에는 필리핀이 한국보다 잘 살았다는 이야기는 사실일까? "옛날에는 필리핀이 한국보다 잘 살았다."라거나 "예전에는 필리핀이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잘 사는 나라였다."는 식의 이야기를 간혹 듣게 된다. 그런데 이 이야기는 참말일까? 필리핀이 한국보다 잘 살았다는 식의 이야기는 거짓말이 아니지만 그렇다고 완전히 사실도 아니다. 문제는 옛날이 언제인가 하는 점이다. 그러니까 그 옛날이 1970년 이전이라면 사실이겠지만, 1970년대 이후라면 사실이 아니다. 필리핀이 한국보다 1인당 국민소득으로 우위를 점한 것은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이다. 미국과의 관계 덕분에 6.25 전쟁(1950.6.25~1953.7.27)으로 인한 전쟁 특수를 누렸던 필리핀은 당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1970년에 들어서면서 한국의 GDP는.. 2023. 12. 29.
[필리핀 경제] 한국 vs 필리핀 국내총생산 GDP 비교 : 1960년~2022년 한국 vs 필리핀 국내총생산(GDP) 비교 : 1960년~2022년 GDP (current US$), GDP growth (annual %) - 자료 출처: 세계은행(World Bank), Last Updated Date 12/18/2023 - 단위: 달러 용어 설명 국내총생산(GDP):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이란 한 나라 영토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 GDP 대한민국 GDP성장률 (%) 필리핀 GDP 필리핀 GDP성장률 (%) 1960 3,958,811,881 7,515,894,111 1961 2,417,628,737 6.9 8,171,194,425 5.. 2023. 12. 29.
[필리핀 경제] 한국 vs 필리핀 1인당 국민총소득 GNI 비교 : 1962년~2022년 한국 vs 필리핀 1인당 국민총소득(GNI) 비교 : 1962년~2022년 - 자료 출처: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1인당 국민총소득(당해년가격) - 단위: 달러 용어 설명 1인당 국민총소득(GNI): GNI(Gross National Income)는 한나라의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에 참가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의미한다. 대한민국 GNI 필리핀 GNI 1962 120 230 1963 120 200 1964 130 180 1965 130 190 1966 140 210 1967 150 220 1968 190 240 1969 240 260 1970 280 240 1971 310 240 1972 340 240 1973 430 290 1974 550 350 197.. 2023. 12. 29.
[필리핀 경제] 필리핀 GDP와 3950달러의 1인당 국민총소득 최근 필리핀 중앙은행(BSP)에서는 정부의 차입금 증가와 통계 조정 등의 요인으로 인해 필리핀의 대외 부채가 9월 말 사상 최고치인 1188억 3000만 달러(한화 155조 335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2023년 3/4분기 GDP의 성장 덕분에 GDP 대비 대외부채 비율이 6월 말 28.5%에서 9월 말 28.1%로 소폭 감소했다. 올해 필리핀 정부는 2023년 필리핀의 국내총생산(GDP)이 6~7%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그리고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필리핀 GDP는 2023년 3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5.9%로 성장했다. 하지만 IMF의 자료에 따르면 필리핀의 GDP는 2022년을 기준으로 4043억 달러에 불과하다. 1인당 GDP는 3950달러로 한국의 10분의 1 정도.. 2023. 12. 28.
영어 숫자 읽기: Million Billion Trillion - 밀리언은 백만, 빌리언은 10억, 트릴리언은 1조 1980년대 중반, 언어인류학자인 대니얼 에버렛은 아마존 정글에 사는 원주민 부족에 주목했다. 피라하(piraha)라는 이름의 원주민 부족이었다. 정글 속에서 조용히 살아가던 피라하 부족이 에버렛의 관심을 받은 이유 중 하나는 그들에게 숫자의 개념이 없었다는 이유였다. 정글 생활에서 숫자가 무엇이 필요하냐 싶겠지만, 숫자의 개념이 없는 피라하 부족은 음식을 많이 소유하고자 힘들여 사냥하지 않았다. 음식을 따로 저장하지 않고 배가 고파지면 수렵채집을 하러 나가는 식이었던 것이다. 가족이란 것은 피라하 부족에게도 중요했지만, 엄마는 아이들이 몇 명이냐는 질문에는 답을 하지 못했다. 소위 문명인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피라하 부족의 생활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여담이지만, 처음에 아마존 피라하 부족은 처음에 '.. 2023. 12. 26.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LTO에서 한국 운전면허로 필리핀 운전면허증 취득하기 필리핀은 대한민국 운전면허증 인정국가라서 한국 운전면허를 가지고 있다면 쉽게 필리핀 운전면허증으로 교환 발급할 수 있다. 필리핀 교통국(LTO)에 방문하면 간단한 서류절차만으로 운전면허증을 받게 된다. 다만 이렇게 별도의 시험 없이 운전면허증을 교환 발급받기 위해서는 도착일 기준으로 120일 이상 유효한 비자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필리핀 이민국에 가서 비자 연장을 하지 않고는 필리핀 입국 시 받은 30일 기간의 관광비자만으로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 이곳에 기재된 정보는 2023년 12월 15일 퀘존의 LTO 본청에서 운전면허증을 교환발급받고 작성했습니다. 필리핀 LTO의 운전면허증 발급에 대한 규정은 수시로 바뀔 수 있으므로 LTO 웹사이트(lto.gov.ph)를 통해 최신 정보.. 2023. 12. 21.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4개월? 6개월? 1년? 운전면허증 발급을 위한 비자 기간은?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을 위해서는 몇 달의 비자 기간이 필요할까? 정답부터 이야기하자면, 이미 한국 운전면허를 가지고 있어서 필리핀 운전면허증으로 교환 발급을 받는다면 4개월 이상 필리핀에 체류할 수 있는 비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처음부터 운전면허증 신규 발급을 받아야 한다면 6개월 이상 필리핀에 체류할 수 있는 비자가 필요하다. ※ 장기 체류비자 없이 운전면허증 발급을 받았다거나 1년 이상 비자가 없다고 운전면허증 발급을 거부당했다는 등의 사례를 간혹 보지만, 어디까지나 예외적인 사례이다. LTO에서 비자 부분을 꼼꼼히 보지 않고 임의로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개별 사례를 기준으로 처리를 요구할 수는 없다. 1. 한국 운전면허로 필리핀 운전면허증을 교환 발급을 받는 경우: 1.. 2023. 12. 20.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면허증에 적힌 영문 코드(DL CODE)의 의미 내가 가진 운전면허증으로 오토바이를 운전할 수 있을까? 내가 가진 필리핀 운전면허증으로 어떤 종류의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지 알고 싶다면 운전면허증의 앞면을 보면 된다. 혈액형 아래에 DL codes라는 제목으로 A, A1, B, B1, B2 등과 같은 영문 코드가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코드가 바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종류를 나타낸다. DL codes 옆에 기재된 컨디션(Conditions)은 안경이나 보청기 착용 등과 같은 운전 조건을 나타낸다. 한편, 2021년 이전에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았다면 DL codes 대신에 Restrictions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021년에 필리핀 LTO에서 DL CODE를 발표하기 전에 사용하던 분류 코드로 DL codes와 마찬가지로 운.. 2023.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