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895

[마닐라 생활] MMDA, EDSA 버스전용차선 위반 시 과태료 대폭 인상 메트로마닐라개발청(MMDA)에서 EDSA 도로 내 버스전용차로 위반 시 부과되는 벌금을 파격적으로 올릴 예정이라는 소식이다. 지속적인 경고에도 불구하고 버스전용차로 위반자가 줄어들지 않음에 따른 특단의 조치이다. 현재 승용차가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할 경우 부과되는 과태료는 1천 페소(한화 약 23,800원). MMDA에 따르면 1천 페소의 벌금을 내고서라도 버스전용차선을 이용하려는 운전자가 종종 목격되기에 이를 5천 페소(한화 약 12만 원)로 인상하겠다는 것이다. 위반 횟수에 따라 과태료 액수는 점점 늘어나며, 운전면허 정지 또는 취소의 처벌을 받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버스전용차로 규정(Bus Carousel Lane regulation)은 지난 2018년 MMDA에서 마닐라의 차량 정체를 조금이라도.. 2023. 10. 27.
[필리핀 대중교통]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Nuvali)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 문의: Tas Trans Corp. (02) 8 872-8497 ※ 위의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Nuvali: P2P Bus Schedule effective on October 9, 2023 until further notice [필리핀 대중교통] 마닐라 마카티에서 산타로사 누발리까지 P2P 버스 운행스케줄 - Copyright 2023. 콘텐츠 스튜디오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PHILINLOVE)에 있으며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 사전 동의 없이 글, 사진, 동영상 등의 내용을 재편집하거나, 출처 없이 콘텐츠를 무단.. 2023. 10. 19.
[필리핀 경제] 2019년~2023년 7월 고용노동통계(취업률, 실업률, 경제활동참가율) 필리핀 고용노동통계 ■ 조사 기간: 2019년 ~ 2023년 7월 ■ 자료 출처: 필리핀 통계청(PSA) - 경제활동참가율(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취업자+실업자. 만 15세 이상 인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 해외노동자(OFW) 와 필리핀 대사관, 영사관 등에 근무하는 직원은 LFPR 조사 대상에서 제외된다. - 취업률(Employment rate): 취업 의사와 노동할 능력을 갖춘 인구 가운데 취직한 사람의 비율 - 실업률(Unemployment Rate): 취업 의사와 노동할 능력을 갖춘 인구 가운데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 불완전고용률(Underemployment Rate): 정규직으로 고용된 것이 아니라 단기로 고용된 임시직과 일용직 노동자의 비율 +.. 2023. 10. 4.
[필리핀 경제] 필리핀 통계청(PSA)의 고용노동통계(LFS) 관련 용어의 의미 LFS(Labor Force Survey)는 필리핀 통계청(PSA)에서 실시하는 고용노동통계 관련 전국 조사이다. 조사의 표본 가구 수는 약 44,000가구이며, 5년마다 진행되는 인구조사(POPCEN)를 기반으로 표본이 선정된다. 고용노동통계조사는 원래 1월, 4월, 7월, 10월 분기별로만 실시되었었지만, 2021년 2월부터 분기별, 월별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해외근로자(OFW)를 고용노동통계 관련 조사에서 제외한다. 해외근로자를 노동인구(Labor Force)로 보지 않기 때문에 가족을 해외근로자로 보낸 뒤 생활하는 가구구성원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지 않는다. 고용노동통계(LFS) 관련 용어 필리핀 통계청(PSA)에서 발표하는 고용노동통계 관련 용어.. 2023. 10. 4.
[필리핀 경제] 쌀가격상한제와 요즘 필리핀의 쌀 가격 근황 필리핀은 1년에 3모작도 가능한 기후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경쟁력이 낮다는 이유로 농업을 버린 탓에 쌀 자급자족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1억 1,300만 명이나 되는 필리핀 사람들의 주식은 바로 쌀밥이다. 필리핀인을 괴롭히려면 쌀밥을 주지 않으면 된다는 농담이 나올 정도이다. 현재 필리핀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쌀을 많이 수입하는 나라로 주로 베트남과 인도 등에서 쌀을 수입하여 밥상에 올리고 있다. 최근 쌀값이 계속해서 상승하고, 쌀 가격이 1kg당 60페소까지 오를 수도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자 필리핀 정부에서는 쌀 가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행정명령(Executive Order No. 39, s. 2023)을 발표했다. 쌀의 판매 가격을 제한하는 쌀가격상한제(Rice price ceiling)를.. 2023. 10. 3.
[필리핀 경제] 인플레이션과 소비자물가상승률(2019년 1월~2023년 8월) 필리핀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23년 8월 기준으로 필리핀의 인플레이션은 5.3%이다. 1월부터 8월 사이 평균 인플레이션은 6.6%. 1월의 8.7%에 비해 낮아졌으나 필리핀 개발예산조정위원회(DBCC) 목표치인 2~4%에 비해서는 매우 높은 상태이다. 전문가들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연료비 급등과 교통비 증가, 달러 환율 상승(페소 가치 하락), 기상악화로 인한 농수산물 가격의 급등 등을 물가 상승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달러 환율이 오르면서 수입품의 가격이 올라가고, 전반적·지속적인 물가 상승(인플레이션)이 유발되는 식이다. 문제는 빈곤함마저 느껴지는 고물가 상황에서도 마땅한 해결책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치솟는 물가로 인해 소비 여력과 구매력은 하락하고, 조만간 물가가 안정될 것이라.. 2023. 10. 3.
[필리핀 경제] 필리핀 페소 대 달러 환율의 변화(2019년 1월~2023년 8월) 필리핀 생활을 하면 물가가 한국과 거의 비슷하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마사지와 같이 인간의 노동력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한국보다 저렴한 것도 많지만, 공장에서 제조되는 상품은 그렇지 못하다. 한국보다 오히려 비싼 것도 많다. 생필품의 상당수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달러 환율은 내려갈 줄을 모르고, 달러 환율이 오르니 수입품의 가격 역시 덩달아 올라간다. 여행 상품 역시 달러 기준으로 가격을 책정하는 경우가 많아서 환율이 오르면 여행객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늘어나게 된다. 실상 필리핀에서 생활하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떠오르는 생각은 하나로 요약된다. 그리고 서민들은 대체 저 월급을 받아서 어떻게 생존해 나가는 것일까 하는 점이다. 달러 대 페소 환율 추이(월 평균) PHILIPPIN.. 2023. 10. 3.
[직책 영어로 표현하기] 팀장, 실장, 본부장, 사업부장 등의 영어 명칭 직책 - 직무상의 책임(Duty or Responsibility)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 조직에서 맡은 일에 대한 책임과 권한의 범위를 보여줌 - 예시: 팀장, 실장, 고문, 파트장, 본부장, 사업부장, 대표이사, CEO ※ 아래는 필리핀에서 사용되는 표현 위주로 작성되었다. 하지만 필리핀 내에 있는 회사라고 해서 반드시 아래의 영어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기업 문화에 따라 다른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영어명칭 고문 Adviser, Advisor 상근고문 Residing Advisor 본부장 Headquarter Manager Chief of the Headquarter 부문장 Head of Division 부서장 Head of Department 사업부장 Head of Corporate Bu.. 2023. 10. 1.
[직위 영어로 표현하기]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상무-전무-사장 등의 영어 명칭 한국 회사와 영어권 국가의 회사는 조직체계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직급이나 직위를 영어로 정확히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회사에 따라 또는 국가에 따라 직급체계나 조직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같은 단어라도 다르게 쓰일 수 있으며, 다양한 영어 단어로 표현될 수 있다. 직위 - 직무에 따라 규정되는 사회적·행정적 위치 - 회사나 단체에서 부여된 개인의 서열 - 단계별로 조직상의 위상을 나타낸 것으로써 그 위상에 따라 다른 처우를 받게 됨 - 예시 (회사) 인턴-사원-주임-계장-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 (정부조직) 팀장-과장-국장,부장,단-실장,본부장-차관보-위원-위원장-차장-청장-차관-장관,처장 ※ 아래는 필리핀에서 사용되는 표현 위주로 작성되었다. 하지만 필리핀 내에 있는 회사.. 2023. 10. 1.
직무 직위 직책 직급 영어로 표현하기(Job Position과 Job Title 구분) 직무, 직위, 직책, 직급 영어로 표현하기 직무: 맡은 일 - 직무는 영어로 duty, Job function 등으로 표기 직위: 회사나 단체에서 부여된 개인의 서열 - 예: 인턴-사원-주임-계장-대리-과장-차장-부장-이사-상무-전무-부사장-사장 - 직위는 영어로 Position, job level, Job Title 등으로 표기 - 자세히 보기: [직위 영어로 표현하기] 사원-대리-과장-차장-부장-상무-전무-사장 등의 영어 명칭 직책: 직무상의 책임과 권한의 정도 - 예: 팀장, 실장, 고문, 파트장, 본부장, 사업부장, 대표이사, CEO - 직책은 영어로 Position, Job Position 등으로 표기 - 자세히 보기: [직책 영어로 표현하기] 팀장, 실장, 본부장, 사업부장 등의 영어 명칭 직.. 2023.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