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895

[필리핀 대중교통] 전통 지프니와 현대식 모던 지프니의 차이 필리핀에는 몇 대나 되는 지프니가 있을까? 필리핀에 얼마나 많은 지프니가 있는지에 대한 자료를 뒤져보면, 어느 자료가 올바른지 판단하기 쉽지 않다. 자료마다 제시하는 숫자의 편차가 크기 때문이다. 자료 출처에 따라 다른 숫자가 제시되기도 하지만, 조사 시점 자체가 불분명한 자료도 많다. 모든 지프니가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수단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도 숫자의 편차가 큰 이유가 된다. 필리핀의 도로에서 지프니를 보면 간혹 뒷면이나 옆면에 'For Family Use'나 'Private'이라고 적힌 것을 볼 수 있는데 개인 용도로 이용하는 지프니라는 의미이다. 상업적인 승객을 태우는 지프니를 패신져 타입(passenger-type), 개인 용도로 사용하는 지프니를 오너타입(owner-type)이라고 구.. 2023. 9. 8.
[필리핀 대중교통] 지프니 탑승 방법을 알아도 이용이 어려운 이유 필리핀 대중문화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한 지프니를 영국 런던의 빨간색 더블 데커 이층 버스처럼 활용하자는 의견도 많지만, 외국인이 지프니를 타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필리핀 관광부(DOT)에서 외국인 여행객들에게 "빠라 뽀"라고 말하면 지프니에서 내릴 수 있다고 아무리 홍보해도 실제 지프니를 타고 여행하는 관광객을 보는 일이 매우 드문 일이 된다. 바나웨처럼 지프니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는 곳에서나 이용될 뿐이다. 외국인이 지프니 탑승이 어려운 이유는 크게 세 가지. 불편한 승차감과 치안, 그리고 부정확한 노선 때문이다. 승객이 원하는 곳에 내려주는 지프니가 많기 때문인지 가끔 지프니에 대해 지정된 노선이 없다고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노선버스처럼 지정된 노선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외국인이 지프니.. 2023. 9. 8.
[필리핀 대중교통] 필리핀 문화의 상징물에서 대기 오염의 주범이 된 지프니 필리핀의 독특한 교통수단인 지프니(Jeepney)는 제2차 세계대전 후에 남겨진 미군용 지프를 개조하여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1940년대 후반부터 전쟁에서 남은 미군 지프를 사용하여 지프니를 만들었다는 말은 이 차가 만들어지기 시작한 것도 이미 80년 가까이 흘렀다는 이야기가 된다. 그리고 이렇게 긴 시간이 흐르면서도 지프니의 형태는 초창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도로에 있기보다는 폐차장에 서 있어야만 할 것 같은 차량도 계속 사용되었다. 그러면서 서민의 발로 여겨지던 지프니가 애물단지가 되고야 말았다. 서민의 발, 지프니의 등장 필리핀의 대표적인 대중교통 수단이라고 하면 지프니(Jeepney)를 빼놓을 수 없다. 전쟁으로 대중교통 수단이 사라지자 필리핀 사람들은 대중교통수단의 부재에 대한 해결책으로.. 2023. 9. 8.
[필리핀 대중교통] 지프니 운송조합, 지프니 기본 요금 5페소 인상 요구 10년 전만 해도 필리핀에서 지프니를 타고 10페소를 내면 2페소를 거스름돈으로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모두 옛날이야기이다. 요즘 필리핀 마닐라에서 지프니를 타려면 12페소를 준비해야만 한다. 그런데 지프니 운송조합에서는 육상 운송 프랜차이즈 및 규제 위원회(LTFRB)에 지프니 요금을 인상에 대한 청원서를 제출했다는 소식이다. 기본요금을 5페소 요금 인상하여 17페소로 하고, 거리요금은 1.80페소에서 2.80페소로 인상해 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이다. 유가가 고공 행진 중이라 연료 보조금 지원만으로는 지프니 노선 유지가 어렵다는 이야기는 이해가 되지만, 지프니 운송조합에서 요구하는 금액이 반영될지는 의문이다. 필리핀에서 지프니 요금 인상은 보통 LTOP, Piston, STOP&GO, FEJODAP 등.. 2023. 8. 25.
[마닐라 생활] 보니파시오 한국 슈퍼(한인마트) - 보니마트 마닐라 보니파시오 하이스트리트 근처에 새로 한국 슈퍼(한인마트)가 문을 열었다. 내 기억이 정확하다면 예전에 편의점과 부동산 업체가 있던 곳이다. 이 목 좋은 자리에 한국슈퍼가 들어오다니 필리핀에서 한류의 인기가 얼마나 대단한지 새삼스럽게 느껴진다. 새로 생긴 한국슈퍼의 이름은 한국어로 보니마트, 간판에는 보니마트와 함께 BGC 코리안마트(BGC Korean Mart)라고 적혀 있다. 세다 호텔 뒤쪽이라서 가게 위치도 좋고, 매장 규모도 상당히 큰 편이다. 매장 규모가 큰 만큼 진열된 상품도 다양한 편인데, 다른 한국슈퍼에서 보기 힘든 잡곡이며 냉동김밥 등도 판다.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는 냉동김밥의 맛도 궁금했지만, 가게를 한 바퀴 다 돌아보고도 선뜻 물건을 집지는 못했다. 아직 소프트 오프닝 .. 2023. 8. 22.
[마닐라 생활] 파리바게뜨, 필리핀 마닐라에 매장 오픈 예정 파리바게뜨에서 필리핀에 매장을 오픈한다는 소식이다. 필리핀 파리바게뜨 매장의 주요 운영사는 미들 트레이드(Middle Trade)와 버자야 푸드(Berjaya Food)이다. 버자야 푸드와 미들 트레이드가 함께 파리바게뜨 필리핀 법인을 설립하고 파리바게뜨에게 파리바게뜨 브랜드 사용에 대한 마스터프랜차이즈 수수료와 매출에 따른 러닝 로열티를 내게 된다. 버자야 푸드에서는 아직 1호점의 위치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메트로 마닐라 지역 내 대형쇼핑몰 내에 오는 4분기 내 필리핀에 1호점을 오픈하고, 내년에 4개의 매장을 더 열 계획이라고 한다. 필리핀 현지 신문기사에 따르면 마닐라에서 파리바게뜨 매장 한 개를 여는데 드는 비용은 대략 30만 달러(약 4억), 앞으로 12개월 동안 이 계획에 150만 달러(약 20.. 2023. 8. 15.
[필리핀 생활] 마닐라 파라냐케의 컴퓨터 가게에서 조립 PC 구매하기 나는 덕후가 세상을 지배한다는 말에 공감하는 편이라서, 컴퓨터를 바꿔야겠다는 마음을 먹자마자 K과장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30년 넘게 이 분야에서 덕후 활동을 하고 있는 K과장님의 조언에 따르면 파라냐케 BF홈에 가면 조립 PC를 판매하는 업체가 있는데 꽤 실력이 괜찮다고 했다. 나는 복잡한 것은 질색이라 게임은 근처에도 가지 않고, 게을러서 유튜브도 하지도 않고, 특별히 하는 것은 없지만 컴퓨터만큼은 늘 최대한 고급으로 사는 인간이라 좀 고사양을 원한다고 이야기했더니, K과장님 왈, 업체 주인장 자신이 게임 쪽 덕후라서 다른 곳에서는 보기 드문 좀 고급 사양의 컴퓨터를 조립하여 판매하다는 설명이다. K과장님을 전적으로 믿겠으니 알아서 고사양 PC로, 하지만 적당하게 구매할 수 있게 해달라고 부탁을 했.. 2023. 8. 14.
[전 세계 국가의 수] 전 세계에는 몇 개의 나라가 있을까? 전 세계에는 몇 개의 국가가 있을까? 지구상에 있는 나라는 모두 몇 개일까? 전 세계에 있는 모두 몇 개의 나라가 있냐는 질문에 대한 답은 국가의 기준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흔히 세계의 국가라고 하면 유엔 회원국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전 세계 국가의 수 유엔(UN) 193개국(정회원)+참관 회원국 2개국(바티칸, 팔레스타인)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등록된 국가 249개국 국제축구연맹(FIFA) 가입국 211개국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가입국 206개국 헨리여권지수 199개 국가/지역 - 현재 유엔(국제연합)에는 193개국이 정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다. 유엔 비회원 옵서버 국가(non-member observer state)인 바티칸 시티와 팔레스타인을 합쳐 195개다. 정회원.. 2023. 8. 9.
[필리핀 보건부] 2023년 8월 현재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격리 규정 지난달 필리핀 정부에서 코로나19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해제함에 따라 현재 필리핀 입국을 위해서는 백신접종증명서나 음성확인서 등이 전혀 필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필리핀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되었을 때 확진자 격리에 대한 규정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필리핀 보건부(DOH)에서는 여전히 코로나19 확진자는 증상과 관계없이 10일 동안 마스크 착용을 해야 하며 중등도 이상의 증상을 보일 경우 의사의 조건에 따라 적절한 격리조치를 해야 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단, 해당 규정을 어겼을 경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으니, 아래 격리 규정은 권고안에 가깝다고 보면 된다. 필리핀에서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 확진자 격리 규정 지난 2023년 6월 5일 보건부 장관으로 임명된 테드 에보사(Ted Herbosa) 장관.. 2023. 8. 4.
[마닐라 생활] 보니파시오의 미츠코시 BGC 백화점 그랜드 오프닝 일본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백화점이라고 하면 일본 도쿄 긴자에 위치한 미츠코시 백화점이 된다. 1673년에 포목점에서 시작되었다는 미쓰코시 백화점은 정찰제 등과 같은 새로운 판매 기법을 도입하여 수많은 성공 신화를 써 내렸고, 여전히 일본 최대 백화점 그룹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쇼핑몰이 대단히 많지만 명품을 취급하는 최고급 백화점은 많지 않은 곳이 필리핀이다. 미츠코시 백화점에서 보니파시오 글로벌 시티(Bonifacio Global City)의 중심가에 'Mitsukoshi BGC'라는 이름으로 필리핀 지점을 만든다는 소식은 마닐라에서 큰 화제가 될 수밖에 없었다. 현대적인 최신식 시설에서 일본의 최고급 브랜드를 한꺼번에 쇼핑할 수 있다는 식의 이야기는 사람들을 보니파시오로 이끌었다. 하지만 지.. 2023.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