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19 관련 뉴스395

[필리핀 방역 단계] 메트로 마닐라는 경고단계 2단계(Alert Level 2)로 유지 필리핀 IATF에서 메트로 마닐라 지역의 경보단계시스템(ALS)을 2단계로 지정하는 권고안을 승인했다고 한다. IATF 결의안을 보면 상당히 복잡해 보이지만, 루손섬 북쪽에 있는 아파야오 주(province of Apayao)만 경고단계 3단계(Alert Level 3)이고 나머지 지역은 경고단계 2단계(Alert Level 2) 지역으로 분류된다고 보면 된다. [필리핀 방역 단계] 경보단계시스템(ALS) 적용 지역 2021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필리핀 각 지역의 경보단계시스템(ALS)은 아래와 같이 적용된다. ① 경고단계 1단계(Alert Level 1) - 대상 지역 없음 ② 경고단계 2단계(Alert Level 2) 섬 구분 행정구역 레벨2 대상 지역 루손 Luzon 메트로 마닐라 N.. 2021. 11. 29.
[필리핀 입국] 녹색국가(그린국가)에 대한 무비자 입국 계획 취소 필리핀 IATF(Inter-Agency Task Force)에서 오늘 발표한 바에 따르면, 그린국가로 부터 온 입국자에 대한 입국 시 격리 규정이 전면 중단된다. 델타보다 전염력이 더 강한 최악의 변이 바이러스라는 오미크론(omicron)에 대한 우려감 때문이다. 12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녹색 리스트 국가를 대상으로 한 무격리 입국 정책" 역시 시행되지 않는다. 녹색국가(그린국가)에 대한 입국 시 격리 규정 변경 ■ 적용 기간 : 2021년 11월 28일 ~ 2021년 12월 15일 ■ 주요 내용 - 녹색국가(그린국가)를 대상으로 했던 격리 완화 규정을 일시 중단함(temporarily suspended) - 녹색국가(저위험 국가/지역)로부터 입국하는 사람도 황색국가(중위험국가/지역)의 격리 규정.. 2021. 11. 28.
[필리핀 입국] 12월 녹색국가(그린국가) 목록 - 한국은 황색국가(중위험국가) 다음 달부터 녹색국가(그린국가)는 필리핀 여행이 가능하다는 식의 이야기는 이만 잊어도 될 것 같다. 오늘 저녁 카를로 노그랄레스(Karlo Nograles) 대통령 대변인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12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한 "녹색 리스트 국가를 대상으로 한 무격리 입국 정책"을 시행하지 않겠다고 한다. 그래서 큰 의미는 없지만 12월 15일까지 적용될 레드·옐로·그린 시스템 대상 국가 목록이 결정된 모양이다. 아직 필리핀 이민국에서는 관련 공지가 올라오지 않았지만, 해리 로케 대통령 대변인이 개인 페이스북에 올린 자료에 따르면 오늘부터 외국인의 입국이 금지되는 고위험 국가/지역(적색국가)가 14개국으로 늘었다. 그린리스트 녹색국가(그린국가)는 중국, 일본, 대만 등 40개국이다. 한국은 여전히 중위험 국.. 2021. 11. 28.
[필리핀 이민국] 남아프리카 7개국에 대해 입국 금지 조치 수십 가지 돌연변이가 일어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종이 남아프리카에서 발견됨에 따라 오늘 필리핀 IATF(Inter-Agency Task Force)는 남아프리카 7개국에 대해 입국 금지 조치를 내렸다. ‘B.1.1.529’이라고 이름 붙여진 새로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는 아프리카 보츠와나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기존 백신의 효과를 무력화시킬 수 있어 최악의 변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 신종 변이 바이러스에 대해 영국 보건안전청은 “신종 변이가 이전의 감염으로 획득한 자연면역과 이미 출시된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면역반응을 모두 회피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필리핀 정부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공) 등 변종 바이러스 발생 국가의 항공편 노선 운항을 모두 중단하는 한편 최.. 2021. 11. 27.
[필리핀 생활] 마카티 쇼핑몰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 필리핀 마닐라 마카티 글로리에따5(Glorietta 5) 쇼핑몰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 - 2021.11.16 [필리핀 생활] 마카티 쇼핑몰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센터 - Copyright 2021. 콘텐츠 스튜디오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 저작권에 관한 경고 : 필인러브(PHILINLOVE)의 콘텐츠(글. 사진, 동영상 등 모든 저작물과 창작물)는 저작권법의 보호 대상입니다. 필인러브의 콘텐츠를 개인 블로그 및 홈페이지, 카페 등에 올리실 때는 반드시 출처를 적어주시기 바랍니다. 사전 동의 없이 내용을 재편집하거나, 출처 없이 콘텐츠를 무단 사용하실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하겠습니다. 2021. 11. 26.
[필리핀 입국] 세부공항, 원헬스패스(One Health Pass) 등록 의무화 내일부터 막탄-세부 국제공항(MCIA)에도 원헬스패스(One Health Pass) 시스템이 적용된다. 그동안 세부 공항에서는 공항 자체에서 제공하는 MCIA Passenger Arrival Registration Form이란 이름의 등록양식을 통해 공항 이용객들의 건강상태확인서를 받아왔다. 하지만 11월 25일 자정부터 해당 등록양식의 사용이 중단될 예정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원헬스패스(OHP)를 통해 전자검역신고서(e-HDC)를 작성해야만 한다. 세부공항에서는 공항 도착일 최소 3일 전에 e-HDC를 등록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세부공항, 원헬스패스(One Health Pass) 시스템 등록 의무화 ■ 시행일 : 2021년 11월 26일 금요일 ■ 대상 : 세부공항(MCIA)을 통해 필리핀을 입국하는.. 2021. 11. 25.
[필리핀 방역 단계] 경보단계시스템(Alert Levels System) 전국으로 확대 시행 내일부터 경보단계시스템(Alert Levels System)이 전국으로 확대 시행된다. 그러니 앞으로 MECQ와 MGCQ라는 단어는 그만 들어도 될 것 같다.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늘어나서 ECQ 대상 지역으로 분류되지 않는 한, 경보단계시스템의 레벨만 확인하면 된다. 필리핀 정부에서는 기존 ECQ, MECQ, GCQ 및 MGCQ로 구성된 격리단계를 대체하는 시스템으로 경보단계시스템(ALS)을 도입하여 지난 9월 16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당시 일단 메트로 마닐라 지역을 대상으로 시범 운영을 해보고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실시한다고 하더니, 시범 운영 결과가 긍정적이었나 보다. 내일부터 코르디예라 행정구(CAR)와 미마로파 지방(MIMAROPA), 방사모로 민다나오 이슬람 자치구 등에도 경보단계시스템(.. 2021. 11. 21.
[필리핀 이민국] 필리핀 입국 시 호텔(시설) 격리 조치 관련 변경사항 요약 아래 내용은 코로나19 범정부 태스크포스(IATF-EID)의 결의안(Resolution No. 149-A)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으로, 세부 규정은 추후 변경될 수 있다. 필리핀 입국 시 격리조치 관련 변경사항 ■ 시행일 : 2021년 11월 22일부터 ■ 대상 : 필리핀의 모든 입국항에 도착하는 국제선 승객 ■ 비고 - 미성년자에 대한 격리조치는 미성년자의 예방접종 여부나 출발 국가에 관계없이 함께 여행하는 보호자의 격리조치를 따르게 됨 - 예방접종완료자의 의미 : 백신별 권장 횟수를 모두 접종하고 예방접종일로부터 14일이 경과한 경우 ① 2회 접종이 필요한 백신의 2차 접종 후 2주가 지난 경우 ② 1회 접종하는 백신의 접종 후 2주가 지난 경우 - 음성확인서 : 출발 전 72시간 이내에 발급받은 .. 2021. 11. 20.
필리핀은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부스터샷 접종)을 어떻게 하고 있을까 오늘 필리핀 보건부(DOH)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21년 11월 18일을 기준으로 전국에 있는 6,457명의 의료진이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부스터 샷)을 맞았다고 한다. 부스터샷 접종은 필리핀 곳곳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지만, 백신접종과 마찬가지로 주로 대도시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추가접종을 시작한 지 이틀밖에 되지 않은 탓도 있겠지만, 접종자 대부분이 메트로 마닐라(2,811명)와 중앙 루손 지방(1,541명), 코르디예라 행정구(1,457명) 세 곳에 집중되어 있다. 필리핀 코로나 백신 추가 접종자 수 (2021년 11월 18일 기준) 행정구역 부스터샷 접종자 수(명) 메트로 마닐라 2,811 중앙 루손 지방 1,541 코르디예라 행정구 1,457 칼라바르손 지방 245 카가얀밸리 .. 2021. 11. 20.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 필리핀 도착 지난 수요일(11월 18일), 미국 머크(MSD)에서 개발한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인 라게브리오(몰누피라비르)가 필리핀에 도착했다. 하지만 몰누피라비르는 아직 필리핀 FDA의 사용 승인을 받지 못했다. 단지 필리핀 FDA에서 특정 병원을 대상으로 발급한 동정적 특별 허가(CSP-Compassionate Special Permits)를 받았을 뿐이다. 따라서 당분간 이 치료제는 아얄라 그룹에서 운영하는 AC Health(Ayala Healthcare Holdings Inc.) 산하의 QualiMed hospital 등 총 31곳의 병원에서만 사용될 예정이다. 인도의 오르빈도 파마(Aurobindo Pharma) 제약사를 통해 몰누피라비르를 수입한 JackPharma 제약사에 따르면 필리핀 내에서 라게브리.. 2021.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