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2895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10월 8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10월 8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 : 4,013,902 ① 확진환자(양성) : 331,869명 (전일대비 +2,363)② 사망 : 6,069명 (전일대비 +144) ③ 회복(음성) : 274,318명 (전일대비 +697)④ Active Case : 51,482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날짜별 정리 (매일 업데이트) ■ 필리핀 코로나19 확진.. 2020. 10. 8. [필리핀 마닐라] 오후 5시까지는 노래방 기계 사용 금지 (가라오케와 비디오케의 차이) 오늘 이스코 모레노(Isko Moreno) 마닐라 시장이 낮 시간에는 노래방 기계 사용을 금지하는 조례(Ordinance No. 8688)에 서명했다고 한다. 이 법에 따르면 학교 수업이 있을 시간, 그러니까 월요일부터 토요일 사이 오전 7시부 터 오후 5시까지는 가라오케(karaoke)나 비디오케(videoke)는 물론이고 스피커 등과 같은 음향 장치도 사용할 수 없다. 조례 위반에 대한 벌금은 꽤 천 페소. 두 번째 위반 시 2천 페소, 세 번째 위반 시 3천 페소로 벌금이 올라간다. 이런 기묘한 법이 제정된 까닭은 간단하다. 학교 수업 때문이다. 지난 10월 5일, 임시 휴교를 시작한 지 6개월여 만에 필리핀 공립학교가 개학했다. 코로나19 때문에 대면 수업은 할 수 없지만, 온라인 수업은 물론이고.. 2020. 10. 8.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10월 7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10월 7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 : 3,979,197 ① 확진환자(양성) : 329,637명 (전일대비 +2,825)② 사망 : 5,925명 (전일대비 +60) ③ 회복(음성) : 273,723명 (전일대비 +437)④ Active Case : 49,989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날짜별 정리 (매일 업데이트) ■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2020. 10. 7. [필리핀 경제] 포브스 선정 필리핀 10대 재벌은 어떤 회사(브랜드)를 가지고 있을까? 인구 1억이 넘는 나라에서 가진 재산이 많은 것으로 10위 안에 든다는 것은 대체 어떤 기분일까?필리핀은 가난한 나라이지만, 모든 사람이 가난한 것은 아니다. 오랜 식민지배 기간과 식민지 시대부터 내려온 플랜테이션 농장 체제, 토지개혁의 실패, 빈번한 자연재해는 필리핀을 가난한 나라로 만들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경제는 발전했지만, 경제 호황은 소수의 부자에게만 영향을 주었다. 마카티와 보니파시오 등에 높은 건물이 즐비하게 늘어섰지만, 이런 건물이 대체 서민들과 무슨 상관이겠는가. 물가는 뛰었지만, 최저임금은 거의 오르지 않았고, 경제 발전은 소수의 부유층 가문을 더욱더 큰 부자로 만들어 줄 뿐이었다. 거리는 반질반질 윤기가 흐르는데, 먹을 것이 없어 굶는다는 사람은 늘어났다. 나와 같은 소시민이 볼 .. 2020. 10. 7. [필리핀 경제] 2020년 포브스가 선정한 필리핀 50대 부자는 누구일까? 미국 경제 전문지 포브스(Forbes)에서 최근 밝힌 바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필리핀 억만장자들의 재산이 감소했다고 한다. 필리핀 50대 부자들의 전체 자산가치가 작년 대비 확연하게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부자들의 재산 가치가 줄어든 것은 주식 가치가 떨어진 까닭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경기가 어려워졌지만, 필리핀의 땅값은 변화가 없다. 2020년 현재 필리핀 슈퍼리치 50명이 보유한 부의 가치는 지난해 780억 달러(91조 1,820억 원)에서 올해는 606억 달러(70조 8,414억 원)로 감소세를 드러냈다. 그중에서도 자산이 눈에 띄게 줄어든 사람은 매트로 뱅크(Metrobank) 은행을 가지고 있는 조지 티(George Ty)로 재산 가치가 46%나 떨어졌다. 하지만 재산 가치가 반 토.. 2020. 10. 6.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10월 6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10월 6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 : 3,946,226 ① 확진환자(양성) : 326,833명 (전일대비 +2,093)② 사망 : 5,865명 (전일대비 +25) ③ 회복(음성) : 273,313명 (전일대비 +209)④ Active Case : 47,655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날짜별 정리 (매일 업데이트) ■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2020. 10. 6.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10월 5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10월 5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 : 3,914,732 ① 확진환자(양성) : 324,762명 (전일대비 +2,291)② 사망 : 5,840명 (전일대비 +64) ③ 회복(음성) : 273,123명 (전일대비 +87)④ Active Case : 45,799명※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날짜별 정리 (매일 업데이트) ■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지.. 2020. 10. 5. [필리핀 생활] 스타벅스의 침방울 가림막과 1,500페소 럭키백 가끔 나만 빼고 모두 예전과 같은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신문이나 SNS에 올라오는 사진을 보면 200일 넘게 집에만 있는 사람은 아무래도 나밖에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출근한다거나 시장에 가는 것이야 당연하지만, 그저 심심하다는 이유로 바깥나들이에 나섰다는 소리를 들으면 용감한 것인지 무식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6개월 동안의 외출 횟수를 알려주려면 손가락 다섯 개로도 충분한 나로서는 마닐라 베이에 화이트 비치 구경을 나선다거나 강아지에게 세례식을 받게 하겠다고 외출하는 것이 도무지 이해되지 않는다. 하긴, 이런 와중에도 부자들을 위한 고급 프라이빗 리조트는 장사가 꽤 잘된다는 소문이다. 코로나19 검사를 받아야만 투숙할 수 있다고 하지만, 검사비 정도는 .. 2020. 10. 5.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10월 4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10월 4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 : 3,873,843 ① 확진환자(양성) : 322,497명 (전일대비 +3,190)② 사망 : 5,776명 (전일대비 +100) ③ 회복(음성) : 273,079명 (전일대비 +18,065)④ Active Case : 43,642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확진자 사망자 완치자 날짜별 정리 (매일 업데이트) ■ 필리핀 코로나19.. 2020. 10. 4. [필리핀 대중교통] 노동단체에서 필리핀 교통부(DOTr)에 80페소 환불을 요구하는 이유 필리핀 노동단체(Defend Jobs Philippines)에서 교통카드(비프카드)를 구매하기 위해 노동자들이 쓴 80페소를 즉시 돌려줄 것을 교통부(DOTr)에 촉구했다. 노동단체의 주장에 따르면, 정부가 사회 서비스로서 좀 더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기보다는 노동자들을 더 많은 이윤을 쥐어짜기 위한 젖소(milking cow)로 취급해 왔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요금 충전 시 부과되는 5페소의 수수료와 65페소의 잔액 유지 조건 역시 폐지할 수 있도록 요구했다. 이 사건의 배경은 이렇다. 최근 필리핀 교통부(DOTr)에서는 비프카드(Beep card)가 있어야만 EDSA Busway의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NO BEEP CARD, NO RIDE 정책을 실.. 2020. 10. 4. 이전 1 ···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2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