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2895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2021년 4월 30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2021년 4월 30일 현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cumulative sample tested) : 11,805,080 ① 확진환자(양성) : 1,037,460명 (전일대비 +8,748) ② 사망 : 17,234명 (전일대비 +89) ③ 회복(음성) : 946,318명 (전일대비 +4,143) ④ Active Case : 73,908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 백신 접종 현황 날짜별.. 2021. 4. 30.
[필리핀 경제] 메트로 마닐라 시민의 소득 평균 51,133페소 감소 코로나19 사태 발생으로 지역내총생산(GRDP)이 하락하면서 메트로 마닐라 지역 내 사람들의 연간 소득이 평균 51,133페소(한화 약 117만 원) 감소했다는 발표가 나왔다. 4월 29일 필리핀 통계청(PSA) 발표에 따르면 2020년 메트로 마닐라 지역(NCR)의 지역내총생산(GRDP)은 5조 6천억 페소(P5.6 trillion)로 2019년(6조 2천억 페소)과 비교하여 10.1% 감소했다.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 그러니까 2019년만 해도 메트로 마닐라 지역 내 지역내총생산(GRDP)은 7%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국가의 GDP 성장률(6.1%)보다 높은 성장률이었다. 물론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지역사회 격리/봉쇄조치만이 메트로 마닐라의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은 것은 아니다. 따.. 2021. 4. 29.
[필리핀 마닐라] 5월부터 MECQ 지역 내 레스토랑 매장 안에서의 식사 허용 "MECQ면 충분합니다.(MECQ is enough)" 코로나19 사태 발생 이후 ECQ에서부터 MECQ, GCQ, MGCQ에 이어 hybrid MECQ까지 여러 가지 낯선 용어가 등장한 것에 싫증이 난 사람이 비단 나 혼자만은 아닌 것 같다. 해리 로케 대통령 대변인에 따르면 두테르테 대통령이 코로나19 방역 조치 단계 분류에 길고 성가신 이름을 붙이는 것에 찬성하지 않았다고 한다. 검역 단계에 또 색다른 이름이 등장하는 것은 아닐까 했는데 다행이다. 또 하나 반가운 소식은 앞으로 레스토랑 안에서 식사가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그동안 필리핀 정부에서는 MECQ 지역 내 식당, 레스토랑, 매점 등 시설 내에서의 식사를 금지했다. 하지만 오늘 저녁 코로나19 범정부 태스크포스(IATF)에서 MECQ 지역 내.. 2021. 4. 29.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2021년 4월 29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2021년 4월 29일 현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cumulative sample tested) : 11,731,301 ① 확진환자(양성) : 1,028,738명 (전일대비 +8,276) ② 사망 : 17,145명 (전일대비 +) ③ 회복(음성) : 942,239명 (전일대비 +) ④ Active Case : 69,354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 백신 접종 현황 날짜별 정리 (업데.. 2021. 4. 29.
[코로나19 백신] 필리핀 백신 접종 현황(4월 27일 현재)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현황 (2021년 3월 1일 이후 누계) ※ 총 접종분은 접종자 수를 의미하지 않음. 백신의 접종 회분(도즈)을 의미함. ■ 2021년 3월 1일 : 백신 접종 시작 ■ 2021년 4월 27일 : 총 1,809,801회분 접종 - 1회차 접종 누계 : 1,562,815 - 2회차 접종 누계 : 246,986 - 운영 중인 백신 접종소의 수 : 3415 날짜 예방접종실적 총 현황 회차별 접종 현황 1회차 접종 누계 2회차 접종 누계 2021년 4월 27일 1,809,801 1,562,815 246,986 2021년 4월 20일 1,562,563 1,353,107 209,456 2021년 4월 16일 1,312,356 - - 2021년 4월 13일 1,255,716 1,093.. 2021. 4. 28.
[필리핀 코로나] 메트로 마닐라 플러스 지역, MECQ 격리단계 5월 14일까지 연장 중환자실(ICU)의 부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이유로 필리핀 보건부에서 NCR-plus 지역의 코로나19 방역 조치 단계를 1~2주 정도 MECQ로 연장하는 것을 제안하였다고 하더니, 5월 14일까지 메트로 마닐라와 불라칸, 카비테, 라구나, 리잘 등 NCR-plus 지역의 코로나19 방역 조치 단계가 MECQ단계로 계속 유지된다는 소식이다. 산티아고 시티와 아브라 주의 격리 단계도 변함없이 MECQ단계가 적용된다. 5월이 되었다고 크게 바뀌는 것은 없지만, 메트로 마닐라 지역 내 야간 통행 금지 시간이 오후 10시부터 오전 4시까지로 조정될 예정이다. MECQ(Modified 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격리단계 ■ 기간 : 2021년 4월 12일 ~ 2021년 5월 14.. 2021. 4. 28.
필리핀 코로나19 확진자 현황 지역별 보기 (2021년 4월 28일 현재)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2021년 4월 28일 현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누적검사수(cumulative sample tested) : 11,675,796 ① 확진환자(양성) : 1,020,495명 (전일대비 +6,895) ② 사망 : 17,031명 (전일대비 +115) ③ 회복(음성) : 935,695명 (전일대비 +10,739) ④ Active Case : 67,769명 ※ Active Case : 사망자와 회복환자를 제외한 확진자 수/ 확정 판정을 받은 뒤 의료기관에 있거나 자가격리 중인 환자 ※ 관련 글 보기 : 필리핀 코로나 백신 접종 현황 날.. 2021. 4. 28.
[필리핀 경제] 월급을 얼마나 받아야 필리핀에서 중산층이 될 수 있을까? 사람들은 흔히 "나는 과연 중산층의 삶을 살고 있을까?"라는 식의 질문을 하곤 하지만, 사실 이 질문에 정확한 답은 없다. 중산층으로 분류되기 위한 요건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실 중산층이냐 아니냐는 매우 주관적인 개념이라 그 정의조차 분명하지 않다. 그래서 누가 조사했는지에 따라 중산층으로 간주되는 인구의 편차도 매우 크다. 중산층에 대한 정의 - 과연 누가 중산층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재산의 소유 정도가 유산 계급과 무산 계급의 중간에 놓인 계급"이라고 중산층을 설명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자본을 가지고 기업을 소유한 계급(유산계급)과 노동자들(무산계급) 사이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통계적으로 봐도 마찬가지이다. 중산층에 대해 국제적으로 인정되는 정립된 기준은 없.. 2021. 4. 28.
[필리핀 경제] 필리핀개발연구소(PIDS)의 소득계층 분류와 계층별 소득 수준 필리핀의 유기농 제품 시장이니 화장품 시장에 대한 동향 조사를 하면 중산층의 인구 증가로 인해 화장품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식의 설명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과연 얼마의 소득이 있어야 필리핀에서 중산층이 될 수 있을까? 필리핀개발연구소(PIDS.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에서는 소득계층(소득별로 계층을 만들어 분류하는 것)을 7가지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필리핀개발연구소(PIDS)에서는 소득이 가장 낮은 2개 그룹을 하위소득계층(low income class)으로 보고, 상위 2개 그룹을 상위소득계층(upper income class)으로 본 뒤 나머지 3개 그룹을 중간소득계층(middle class)으로 파악한다. 소득계층을 빈곤.. 2021. 4. 28.
[필리핀 경제] 필리핀 정부의 빈곤에 대한 정의와 소득계층의 변화 벌써 작년 일이지만, 필리핀 국회에는 필리핀 경제개발청(NEDA)에 소득 계층에 대한 정의를 정확히 다시 해달라고 요청한 일이 있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현금 지원 프로그램 때문이었다. 누구에게 얼마의 생계비를 지원할 것인가를 정하기 위해서는 소득 계층을 분류하고 대체 누구를 빈곤층(Poor) 혹은 저소득층(Low-income class)으로 볼 수 있느냐를 먼저 결정해야 한다. 그런데 이미 여러 가지 관련 자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필리핀 국회에서는 소득 계층 분류의 정의나 단어 등에 있어 통일된 방법을 찾아달라는 요청을 한 것일까? 필리핀 통계청과 필리핀개발연구소(PIDS)의 발표 자료를 보면 소득계층의 분류 체계 자체가 다르다. 빈곤선 임계값(최저한도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1.. 2021.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