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로나19 관련 뉴스395

[필리핀 현지 소식] 수정된 지역사회 격리조치(MECQ) 기간 중 비즈니스 운영 허용범위 대체 언제부터 미용실에 갈 수 있게 되는 것일까? 5월 16일부터 메트로 마닐라, 라구나 및 세부시티 지역이 ECQ가 아닌 MECQ 지침의 적용을 받는다. MECQ 단계에서는 레저활동이 아닌 쇼핑몰 시설(Mall and commercial centers for non-leisure activities)의 운영이 허용된다. 필수품 제조, 병원 및 클리닉, 슈퍼마켓, 물류 서비스, 택배, 배달 서비스, 기계나 장비의 수리 및 설치, 가정용품 수리, 통신회사, 주유소, 미디어 시설, 공공 및 민간 건설 프로젝트, 은행, 송금 서비스 등도 운영이 허용된다. 전자제품과 산업설비 등 국가의 수출에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일부 제조업도 공장 가동이 허용된다. 하지만 운영 재개가 가능한 업체라고 해도 50% 용량으.. 2020. 5. 14.
[필리핀 현지 소식] 코로나19 관련 제한조치 완화 계획, ECQ와 MECQ, GCQ의 차이점 현재 필리핀에서는 코로나19 감염 위험도에 따라 지역별로 단계적인 규제 완화를 시행하고 있다. 감염 리스크가 높은 고위험 지역(High Risk)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를 유지하지만, 감염 환자가 많지 않거나 감염자 증가 추세가 완만한 중위험 지역(Moderate Risk)이나 저위험 지역(Low Risk)에서는 외출이나 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식이다. 이렇게 복잡하게 단계를 나누어 관리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경제적 압박 때문이다. 경제적 타격을 줄이기 위해 외출에 대한 규제를 서서히 완화하는 것이다. 코로나19 신규 확진환자의 수는 늘 비슷한 상황이고, 무증상 환자가 상당히 많다는 마닐라 시의 발표가 나오기도 했었지만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올 때까지 계속 봉쇄 조치를 유지하기란 어려우니 필리핀 정부.. 2020. 5. 14.
[필리핀 현지 소식] 메트로 마닐라, 라구나, 세부에 수정된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MECQ) 시행 메트로 마닐라 지역에 시행 중인 강화된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ECQ - Enhanced Community Quarantine)가 수정된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MECQ)로 바뀌어서 5월 31일까지 연장된다. 오늘 아침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가 방송되었으나 격리조치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 봉쇄(락다운) 기간이 연장될 것인가에 대한 소문만 무성했는데, 결국 메트로 마닐라 및 라구나, 세부시티 지역에 있어 MECQ라는 이름으로 격리조치를 연장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필리핀 정부에서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봉쇄 조치에 대한 여러 가지 단어를 전 국민에게 알려주고 있는데, 이번에 나온 단어는 '모디파이드 인핸스드 커뮤니티 쿼런틴(Modified Enhanced Commun.. 2020. 5. 12.
[필리핀 현지 소식] 최근 2주간 코로나19 확진자 비발생지역 (5월 4일) ■ 필리핀 코로나19 발생 현황 (5월 4일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5월 4일 기준으로 필리핀 내 코로나19 발생자가 가장 많은 곳은 메트로 마닐라 지역이다. 세부시티의 코로나19 확진자는 1,090명으로 확인된다. ① 확진환자(양성) : 9,485명 (전일대비 +262)② 사망 : 623명 (전일대비 +16) ③ 회복(음성) : 1,315명 (전일대비 +101) * 누적검사수 : 113,574 (5월 3일 현재) ■ 최근 2주간 코로나19 확진자 비발생지역- 기간 : 4월 20일부터 5월 3일까지 - 비고 : 코로나19 확진자 미발생지역 포함 총 38곳 LIS.. 2020. 5. 4.
[필리핀 현지 소식] 메트로 마닐라 외 7개 지역,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ECQ) 5월 15일까지 기간 연장 필리핀의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23일 현재 6,981명으로 그중 대부분은 메트로 마닐라(4,673명)와 칼라바르손 지방(1,008명)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확진자의 81%가 메트로 마닐라 지역와 그 주변 지역에서 나오는 상황이라 루손섬 전체에 대해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 ECQ)를 할 필요가 있느냐는 질문이 나올 수밖에 없다. 오늘 아침 대통령 대변인 헤리 로케(Harry Roque)의 브리핑 내용에 따르면, 루손섬 지역별로 코로나19 감염 위험도를 분류하여 지역에 따라 봉쇄(락다운)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한다. 경제 마비 상태를 염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루솜섬 전체 지역에 대해 봉쇄 조치를 하지 않겠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지만, 코로나.. 2020. 4. 24.
[필리핀 세부] 4월 20일부터 라푸라푸(세부공항)와 세부시티 사이 다리(Bridge) 통행 금지 세부시티(Cebu City)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라푸라푸 시티(City of Lapu-Lapu)에서 강력한 격리 조치에 나섰다. 오늘 라푸라푸 시장 조날드 앙 찬(Junard Ahong Chan)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내일(4월 20일)부터 세부 시내로 나가는 막탄 만다웨 브리지(Mactan-Mandaue Bridge)와 마르셀로 페르난 브리지(Marcelo Fernan Bridge)의 이용이 금지된다. 필수 상품의 운송 차량과 의료 지원이 필요한 시설의 차량, 정부, 경찰, 군인의 차량은 이동은 허용되지만, 개인적인 용무로 통행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된다. 더불어 차량과 쇼핑몰(시장) 방문에 넘버코딩이 실시된다. 올랑고 섬(Olango Island)으로의 출입도 금지되는데, 올랑고.. 2020. 4. 19.
[필리핀 생활] 필리핀에서의 코로나19 검사비와 치료비 - 치료 비용은 최소 100만 페소(2400만원)? 얼마 전 한국에서의 코로나19 완치자의 치료비가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부산인제대백병원에서 약 19일 동안 치료를 받은 환자의 진료비 총액은 9,709,900원. 이 중에서 환자부담총액은 1,448,700원이었는데,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1,404,550원을 부담하였다는 것이다. 나머지 44,150원조차 국가지정전염병으로 100% 환급받을 수 있으니 치료비가 무료인 셈이다. 검사 대상자가 아닌데 코로나19 검사를 받기 원하면 약 16만 원 정도의 비용을 부담해야 하지만, 확진자로 판명되면 검사, 격리, 치료 비용을 국가, 국민건강보험공단, 지방자치단체 공동으로 전액 부담하게 된다고 보면 된다. 여기에는 외국인 확진 환자도 해당한다. 국가의료보험이 아닌 민영의료보험 제도를 택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코로나1.. 2020. 4. 16.
필리핀 보건부(DOH)에서 사용하는 코로나19 관련 용어의 뜻과 영어 발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와 관련하여 필리핀의 현재 상황을 알고 싶다면 현지 신문을 보는 것이 최선이다. 한국의 신문에도 필리핀의 코로나19 관련 뉴스가 종종 올라오지만, 아래와 같은 기사는 대체 어디의 이야기인지 알 수가 없다. 필리핀 교민사회는 불안한 치안 상황에 잔뜩 긴장하고 있다. 수도 마닐라에서 주재원으로 근무하는 B씨는 “시민들이 거리에서 경찰에게 뺨을 맞거나 발로 걷어차이는 모습을 자주 봤다”며 “한국 교민들은 그저 최대한 집 안에 머무르며 경찰과 마주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출처 : 한국일보 코로나 봉쇄령 위반 60대男 사살…다시 시작된 두테르테 공포정치 / 4월 6일 기사 ) 자가격리를 이유로 외출을 전혀 하지 않은지 한 달이 넘어가고 있는 형편이라 실.. 2020. 4. 15.
[필리핀 현지 소식] 루손섬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 4월 30일까지 기간 연장 필리핀 루손섬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 기간이 4월 30일 목요일 11:59 PM 까지 연장된다. 원래 다음 주 4월 13일에 해제될 예정이지만, 18일 더 연장한 것이다. 어제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이 대국민 담화를 통해 루손섬 지역사회 봉쇄‧격리조치(enhanced community quarantine) 기간을 연장할 의향이 있다는 발언을 하여 봉쇄(락다운) 기간이 연장될 것이라는 소문이 무성했는데, 코로나19 대응 관계부처 태스크 포스(IATF-EID) 회의의 건의에 따라 격리기간의 연장을 승인했다는 소식이다. 연장된 기간에도 대중교통 운행 중단 및 사업체 임시 폐쇄 등과 같은 봉쇄‧격리조치에 대한 지침은 계속 유효하게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필리핀의 코로나19 확진자는 4월 6일 현재 3,660.. 2020. 4. 7.
[필리핀 코로나19] 날짜별 확진자 사망자 발생 현황 (매일 업데이트) 필리핀 코로나19 발생현황(일일동향) - 날짜별 확진자 사망자 현황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시작되었다. 화난수산시장(우한 시장)이 바이러스 발원지로 여겨지고 있다. - 주의 : 이곳에 기재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현황'은 필리핀 보건부(DOH) 발표 자료를 근거로 기재되었으며, 개인적으로 취합한 내용이라 수치의 정확성에 대해 책임질 수 없습니다. - 자료 출처 : 필리핀 보건부(DOH) ■ 2022년 날짜 누적확진자 신규확진자 치료 중 (Active Cases) 완치 (회복) 사망자 12월 31일 4,064,443 591 13,497 3,985,561 65,385 12월 30일 4,063,816 605 13,822 3,984,635.. 2020.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