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가진 운전면허증으로 오토바이를 운전할 수 있을까?
내가 가진 필리핀 운전면허증으로 어떤 종류의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지 알고 싶다면 운전면허증의 앞면을 보면 된다. 혈액형 아래에 DL codes라는 제목으로 A, A1, B, B1, B2 등과 같은 영문 코드가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코드가 바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종류를 나타낸다. DL codes 옆에 기재된 컨디션(Conditions)은 안경이나 보청기 착용 등과 같은 운전 조건을 나타낸다. 
한편, 2021년 이전에 운전면허증을 발급받았다면 DL codes 대신에 Restrictions라고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021년에 필리핀 LTO에서 DL CODE를 발표하기 전에 사용하던 분류 코드로 DL codes와 마찬가지로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종류를 나타낸다. 운전면허증 뒷면을 보면 코드의 의미가 기재된 것을 볼 수 있다.  
1. DL Codes(Driver’s License Codes) - 9가지
DL CODE는 해당 운전면허증의 소유자가 운전할 수 있는 차량의 종류를 나타내는 코드이다.
| DL Codes | 의미 | 
| A | 오토바이(Motorcycle) | 
| A1 | 트라이시클(Tricycle) | 
| B | 승용자동차(Passenger Car) | 
| B1 | 승합자동차(Passenger Van or Jeepney) | 
| B2 | 소형트럭(Light Commercial Vehicle) | 
| C | 대형 트럭(Heavy Commercial Vehicle) | 
| D | 버스(Passenger Bus) | 
| BE | 경량 굴절식 차량(Light Articulated Vehicle) | 
| CE | 대형 굴절식 차량(Heavy Articulated Vehicle) | 
참고로 운전면허증의 종류에 따라 운전면허증에 표기될 수 있는 DL codes는 아래와 같다. 단, 비전문 운전면허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아래 열거된 차량을 모두 운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운전면허증 구분 | 운전 가능 차량 | 
| 비전문 운전면허증 (Non-Professional License) | A(오토바이), A1(트라이시클), B(승용차), B1(승합차), B2(소형 트럭) | 
| 전문 운전면허증 (Professional License) | 비전문 운전면허로 운전 가능한 자동차 + C(대형트럭), D(버스), 트레일러 | 
2. Conditions - 5가지
Condition Code는 운전면허증 소지자의 신체상태에 따라 기재되는 코드이다. 운전을 할 수 있는 조건(면허조건)을 나타낸다.
| Condition Code | 의미 | 
| Condition Code 1 | 안경이나 교정 렌즈를 착용 후 운전 가능 | 
| Condition Code 2 | 보조수단 사용 후 운전 가능(의족 사용 등) | 
| Condition Code 3 | 신체장애 정도에 적합하게 특수설계된 차로 LTO의 승인을 받는 자동차만 운전 가능 | 
| Condition Code 4 | 낮에만 운전 가능 | 
| Condition Code 5 | 보청기 사용 후 운전 가능(청각장애인) | 


[비고] 기존에 사용하던 분류 코드(Previous Restriction Code)
지난 2021년 필리핀 LTO에서는 운전 가능 차량을 안내하기 위해 DL CODE라는 것을 발표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분류 코드(Restriction Code)가 사람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이유였다. Code 1부터 Code 8으로 나뉘던 RC(Restriction Code)와 다르게 새로 발표된 DL CODE는 차량 카테고리를 세분화하여 기존보다 더 명확히 어떤 종류의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지 보여준다.
- RC(Restriction Code): DL CODE를 발표하기 전에 필리핀 LTO에서 사용하던 기존 분류 코드
| 기존 분류 코드 RC(Restriction Code) | 새로운 DL 코드 DL CODE | 차량 카테고리 VC(Vehicle Category) | 
| Code 1 - 오토바이와 트라이시클 | A - 오토바이 | L1 | 
| L2 | ||
| L3 | ||
| A1 - 트라이시클 | L4 | |
| L5 | ||
| L6 | ||
| L7 | ||
| Code 2 - 차량 총중량이 4,500kg 미만인 수동 차량(MT) Code 4 - 차량 총중량이 4,500kg 미만인 자동 차량(AT) | B - 승용차 | M1 | 
| B1 - 승합차 | M2 | |
| B2 - 소형트럭 | N1 | |
| Code 3 - 차량 총중량이 4,500kg 이상인 수동 차량 Code 5 - 차량 총중량이 4,500kg 이상인 자동 차량 | C - 대형 트럭 | N2 | 
| N3 | ||
| D - 버스 | M3 | |
| Code 6 | BE - 트레일러를 장착한 차량 | O1 | 
| Code 7 | O2 | |
| Code 8 | CE - 대형화물차 | O3 | 
| O4 | 










※ 위의 내용은 아래 자료를 참고로 작성되었습니다.
 · 필리핀 교통국(LTO): List of LTO Driver’s License Restriction Codes and Meanings
 · 필리핀 교통국(LTO): Driver’s License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면허증에 적힌 영문 코드(DL CODE)의 의미
- Copyright 2023. 콘텐츠 스튜디오 필인러브 all rights reserved -
※ 저작권 안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필인러브(PHILINLOVE)에 있으며 무단전재, 복사, 배포를 금지합니다. 사전 동의 없이 글, 사진, 동영상 등의 내용을 재편집하거나, 출처 없이 콘텐츠를 무단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필리핀 교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4개월? 6개월? 1년? 운전면허증 발급을 위한 비자 기간은? (0) | 2023.12.20 | 
|---|---|
|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필리핀 LTO에서 사용하는 영문 약자(약어)의 의미 (0) | 2023.12.20 | 
| 필리핀 운전면허증 발급받기: 스튜던트 퍼밋 vs 비전문 운전면허증 vs 전문 운전면허증 (0) | 2023.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