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필리핀 이해하기487

[필리핀 월급] 필리핀의 고소득 직업 TOP 10, 1위는? (2022년 기준) 필리핀에서 가장 월급을 많이 받는 직업은 무엇일까? 필리핀 통계청(PSA)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필리핀에서 가장 높은 월평균 임금을 받는 직업은 여전히 파일럿(pilot)이다. 항공 운송 산업(air transport industry)에 종사하는 항공기 조종사 및 관련 전문가는 필리핀에서 유일하게 6자리 임금(six figure salary)을 받는 직종으로 월 평균 임금이 135,363페소(한화 약 323만 원)에 달한다. 조종사 다음으로 많은 월급을 받는 직종은 소프트웨어 개발자로 평균 70,595페소(한화 약 168만 원)의 월급을 받는다. 생각보다 월급이 많지 않게 여겨질 수도 있지만 이 금액은 직종별 평균 임금이기 때문에 기업 규모나 근속기간, 경력, 근로시간 등을 반영하지 못한다. 그리고 해당.. 2023. 10. 2.
[필리핀 월급] 경리, 회계사무원, 단순노무종사자의 평균 월급(2022년)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2년마다 직종별 임금을 조사하는데, 모든 직업에 대한 임금을 조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산업별 임금을 비교하기 위해 모든 혹은 대부분의 사업장에 공통으로 존재하는 직업을 선정하여 해당 직종의 근로자가 월급을 얼마나 받는지 조사한다. 이를 벤치마크 직업(Benchmark occupation)이라고 부른다.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2022년 직종별 임금조사(2022 Occupational Wages Survey)에서 회계 및 경리사무원과 단순노무종사자(비숙련 근로자)를 벤치마크 직업으로 삼고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의 임금 수준은 일반적으로 높지 않지만 산업이나 기업 규모 등에 상관없이 보편적으로 필요한 직무라서 직종별 혹은 산업별 임금 수준을 파악하도록 해준다. + 관련 글.. 2023. 10. 2.
[필리핀 월급] 2022년 필리핀인의 중위소득은? 중위소득(Median Income)은 전체 임금근로자에 대해 소득순으로 순위를 매긴 다음 정확히 가운데를 차지하는 금액을 의미한다. 즉, 월평균 임금의 중앙값(Median Monthly Basic Pay and Allowance)은 직업 또는 직위에 상관없이 임금을 상위에서 하위까지 한 줄로 세운 뒤 그 줄의 맨 중간으로 측정되는 중앙값(중위수)을 나타낸다. 전체 임금을 근로자 수로 나누어 계산하는 평균(Average) 급여와는 별도로 필리핀 통계청에서 중위소득(월 급여의 중앙값)을 발표하는 것은 이를 통해서 상위 소득층과 하위 소득층 사이의 격차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리핀의 중위소득 기본급 수당 합계 2022년 14,588페소 2,381페소 16,969페소 2020년 13,646페소 2,456.. 2023. 10. 2.
[필리핀 직종별 임금조사] 2022년 필리핀인의 월평균 임금은 18,423페소(44만 원) 최근 필리핀 통계청(PSA)에서는 2022년 직종별 임금 조사(2022 Occupational Wages Survey)의 주요 결과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정규직 근로자의 월 평균 임금은 18,423페소(325달러)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화 44만 원에 해당한다. 한편, 필리핀 경제개발청(NEDA)에서는 지난달 9월 초 2025년까지 필리핀이 중상위 소득 국가로 발전할 전망이라고 밝힌 바 있다. 2022년을 기준으로 필리핀의 국민 소득은 3,950달러로 저소득 국가로 분류되지만, 곧 중상위 소득 국가의 기준에 근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1인당 국민소득이 4,466달러에서 1만 3,845달러 사이에 있는 국가를 중상위소득국가로 규정하고 있다.. 2023. 10. 2.
[필리핀 생활] 의사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항생제를 구매할 수 있을까? 필리핀에서 의사 처방전 없이 항생제를 구매할 수 있을까? 한국에서 아프면 바로 병원으로 달려가겠지만, 필리핀에서 아프면 병원에 가기가 쉽지 않다. 병원비도 걱정이지만, 의사를 만나기까지 길고 긴 시간을 대기하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병원 대기실에서 하릴없이 하루를 보내는 경험을 몇 번 하고 나면 병원 방문이 꺼려지며 일단 인터넷 검색부터 하게 된다. 손가락 끝에 염증이 생겼다. 혹 그냥 두면 자연적으로 낫지 않을까 하는 희망으로 며칠 견뎌보았지만 상태가 호전되지 않았다. 낫기는커녕 오히려 손을 쓰기 어려울 정도로 손가락이 점점 퉁퉁 부어오를 뿐이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생손앓이가 생기면 항생제를 먹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 항생제를 사려고 약국을 찾아 나섰다. 하지만 약국을 몇 곳이나 돌아다녀 본 뒤.. 2023. 9. 25.
[필리핀 생활] 필리핀에서 뎅기열에 걸리면? 뎅기열의 증상과 치료법 필리핀에서 뎅기열(dengue fever)에 걸리면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다. 약국에 가도 휴식을 취하면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뿐이다. 약사가 증상이 심해지면 병원에 방문하여 수액을 맞으라는 이야기를 해주기도 하지만, 고열에 시달릴 때는 병원까지 가는 것 자체가 큰 고통이 된다. 그래서 파라세타몰을 먹고 증상이 호전되기까지 견디는 정도 외에는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다. 병원의 문턱이 높다 보니 가난한 사람들은 민간요법에 매달리기도 한다. 필리핀 사람들은 파파야(papaya)나 타와타와(tawa-tawa)의 잎을 차로 끓여서 마시기도 하지만 실제 효과가 있는지는 좀 의문이다. 그래도 타와타와(학명: 유포비아 히르타)는 예로부터 차로 끓여서 마셨다는 허브 식물이라서 열을 내리.. 2023. 9. 25.
[필리핀 생활] 치료제나 백신 없는 뎅기열, 예방수칙은? 필리핀 대사관에서 거의 매년 올리는 안내문 중 하나는 뎅기열 확산에 대한 주의이다. 모기에게 물려 감염되는 뎅기열은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자가 70~80%나 되어서 감염 여부를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뎅기열은 말라리아나 황열병과 비교해 사망률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는 단순 뎅기열에 해당하는 이야기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 중증 뎅기열(뎅기출혈열, 뎅기쇼크증후군 등)로 발전한다. 그리고 출혈 및 호흡곤란, 간비대증 등이 일어나는 출혈성 뎅기열에 걸렸었을 때 적당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사망률이 20%에 이르게 된다. 뎅기열 백신 뎅기열은 아직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서 예방주사를 맞기가 어렵다. 지난 2015년에 사노피 파스퇴르(Sanofi Pasteur)에서 뎅그박.. 2023. 9. 25.
[필리핀 월급] 공항의 보안검색대에 일하는 직원의 월급은 어느 정도 될까 필리핀 공항의 보안검색대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봉급을 얼마나 받을까? 월급이 적다는 것이 도둑질에 대한 변명은 되지 않지만, 계속해서 보안검색요원에 의한 절도 사건이 발생하면 대체 이들의 월급은 어느 정도 되는지 궁금해진다. + 관련 글 보기: [필리핀 마닐라] 마닐라공항 보안검색요원이 슬쩍한 돈을 삼켰다고요? 필리핀 교통안전국(OTS) 공항 내 보안검색대에서 일하는 보안검색요원을 필리핀에서는 SSO(Security Screening Officer)라고 부르는데, 교통안전국(OTS)에 소속되어 일한다고 한다. OTS(Office for Transportation Security)는 필리핀 교통부(DOTr) 산하기관으로 교통 시스템의 보안을 담당한다. 2004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 시절에 국제민간항공기구.. 2023. 9. 21.
[필리핀 월급] 필리핀 공립학교의 교사 월급 수준(2023년) 카비테에 있는 공립학교에서 과학 교사 일을 하는 로즈의 사진을 보다가 유니폼을 입고 있는 모습에 깜짝 놀라고 말았다. 선생님인 로즈가 학생 교복과 똑같은 모양의 유니폼을 입고 있는 모습은 조금 어색했지만, 매일 입는 것은 아니고 지정된 날에만 입도록 하고 있다고 했다. 로즈는 옷 신경을 쓰지 않아서 좋다면서 매년 정부에서 유니폼을 사는 비용을 지원하고 있다고 알려준다. 교사가 받을 수 있는 혜택 중 하나가 의류비 지원이라는 것이다. 필리핀의 교사들은 월수입이 얼마 정도 될까? 필리핀의 학교는 공립학교(Public school)와 사립학교(Private school)로 나뉘며, 일반적으로 공립학교의 교사 월급이 사립학교보다 높은 편이다. 마닐라에 워낙 학비가 비싼 고급 사립학교가 많은 탓에 언뜻 생각하면 .. 2023. 9. 19.
[필리핀 월급] 봉봉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은 월급으로 얼마를 저축할 수 있을까? 남들보다 월급을 많이 받고 싶어서 필리핀 대통령으로 출마하는 멍청이가 있으리라는 생각은 들지 않지만, 그래도 필리핀 대통령이 되면 월급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일단 필리핀 대통령의 월급은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 당선 이후 크게 올랐다. 2016년 6월 30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재임했던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이 당선 첫해인 2016년에 받았던 월급은 160,924페소(현재 환율로 약 376만 원)였다고 한다. 필리핀에서 월급으로 16만 페소를 받으면 적은 돈은 아니지만, 그래도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당선 이후 공무원 급여 인상에 대단히 적극적으로 임했다. 2019년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은 급여표준화법(Salary Standardization Law of 201.. 2023. 9. 19.
[필리핀 월급] 급여 등급과 단계에 따른 필리핀 공무원 봉급표(2023년) A씨가 TIN번호(납세자 식별번호)가 필요하여 필리핀 국세청(BIR)으로 문의했다가 실제 겪었던 일 하나. 시간이 상당히 걸린다고 하여 어떻게 하면 좋을지 걱정했더니 중간에 낀 브로커가 언더데스크 머니 이야기를 해왔다. BIR에 아는 직원이 있는데 2천 페소 정도를 주면 바로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이었다면 약간의 돈을 받고 편의를 봐주는 일은 없겠지만, 필리핀에서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고 일을 해결하는 일은 그다지 놀라운 일도 아니다. 실상 공무원의 부정부패에 대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봉급이 너무 적어서 그렇다는 식의 설명이 따라붙고는 한다. 하지만 필리핀 공무원 월급도 조금씩, 하지만 꾸준히 올랐다. 특히 2019년 로드리고 두테르테 전 필리핀 대통령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공무원 급.. 2023. 9. 19.
[필리핀 정치] 아이미 마르코스와 바랑가이 청소년의회 SK선거 한국인은 SK라고 하면 통신사부터 떠올리겠지만, 필리핀에서 SK는 청소년의회를 뜻한다. 정식 명칭은 상구니앙 카바타안(Sangguniang Kabataan)이지만 통상적으로 에스케이(SK)라고 부르는 상구니앙 카바타안은 바랑가이의 청소년을 대표하기 위해 구성된 청소년의회(Youth council)이다. ※ 필리핀어로 카바타안(Kabataan)은 청년(youth)을, 상구니앙(Sangguniang)는 의회(council)를 의미한다. SK는 청소년의회, 청소년위원회, 청소년참여위원회, 청년의회, 청년위원회 등 다양하게 번역되지만 여기에서는 청소년의회로 표기했다. 필리핀 청소년의회(SK)의 시작 청소년의회(SK)는 1975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이 설립한 카바타앙 바랑가이(Kabataang Barang.. 2023. 9. 18.
[필리핀 정치] 필리핀 기초자치단체, 바랑가이 캡틴의 권한과 월급 필리핀에서 가장 큰 행정구역 단위는 지방(Region)으로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를 포함하여 총 17개 지방(Region)으로 나뉜다. 그리고 지방은 다시 주(Province)로, 주(Province)는 시(City)와 구(Municipality)로 세분된다. 그리고 시와 구는 다시 바랑가이(Barangay)로 나뉜다. 바랑가이를 이끄는 지방자치단체장을 바랑가이 캡틴(Barangay captain)이라고 부르는데,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 바랑가이 캡틴의 임기는 3년이지만 3회에 걸쳐서 중임이 가능하다. 필리핀의 바랑가이(Barangay) 바랑가이(Barangay)는 필리핀의 최소 행정단위이다. 한국의 동(洞)이나 면(面)에 해당하는 필리핀에서 가장 작은 지방 정부 단위로 2023년 현재 필리핀에는 42,.. 2023. 9. 18.
[필리핀 정치] 2023년 바랑가이 선거와 청소년의회 SK선거 일정 및 당선자수 올해 바랑가이와 청소년의회(SK)의 선거는 2023년 10월 30일 월요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투표는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까지 진행되며, 투표 종료 후 즉시 개표하여 당선자를 발표하게 된다. 선거 기간이 2023년 11월 29일까지로 되어 있는 것은 바랑가이와 SK선거 후보자들이 기부금 및 지출 명세를 제출하는 마지막 날이 11월 29일이기 때문이다. 당선자들의 임기는 11월 30일 정오부터 시작된다. 2023년 필리핀 바랑가이 선거 일정 BSKE(Barangay and Sangguniang Kabataan elections) - 바랑가이(Barangay): 한국의 동(洞)이나 면(面)에 해당하는 필리핀의 최소 행정단위 - 상구니앙 카바타안(Sangguniang Kabataan): 청소년의회(SK)를.. 2023. 9. 18.
[필리핀 정치] 바랑가이 선거와 필리핀 여행의 상관관계 바랑가이 선거와 만성절 공휴일 기간을 이용하여 필리핀 어딘가로 여행을 떠나면 어떨지 계획하다가 마음을 바꾼 이유는 두 가지. 치안에 대한 염려와 국립공원이며 가게가 죄다 문을 닫을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었다. 긴 징검다리 공휴일이라서 항공료가 훌쩍 뛴 것이야 당연하다고 이해가 되지만, 가게 문이 닫히면 돌아다니기가 어려워진다. 게다가 공연히 남의 선거판에서 어슬렁대다가 사고라도 당하면 수습이 쉽지 않다. 2023년 10월 30일 월요일에는 필리핀에서 바랑가이(필리핀의 최소 행정단위)의 대표를 뽑는 지방 선거가 있을 예정이다. BSKE(Barangay and Sangguniang Kabataan elections)라고 부르는 이 선거는 바랑가이와 청년 위원회를 이끌 대표를 선출하는 선거로 필리핀의 기초.. 2023. 9. 18.
[필리핀 공휴일] 바랑가이 선거와 만성절로 인한 최대 9일의 징검다리 연휴(10월 28일~11월 5일) 올해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 필리핀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공항이 여행객들로 붐빌 것을 각오하는 것이 좋겠다. 일단 2023년 10월 30일 월요일에는 바랑가이 선거가 있다. BSKE(Barangay and Sangguniang Kabataan elections)라고 부르는 이 선거는 필리핀의 최소 행정단위인 바랑가이(Barangay)와 청소년의회(SK)의 지역 대표를 뽑는 선거로 지방선거이지만 대통령을 뽑는 대선만큼이나 치열하다. 대사관에서 여행객들에게 안전주의보 메시지를 보낼 정도로 많은 사건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대사관 안내를 따라 불필요한 야간외출을 자제해서 안전에 유의한다고 해도 금주령은 좀 다른 문제이다. 여행객이 주로 가는 호텔 등은 예외로 술을 팔기도 하지만, 필리핀에서는 선거 전.. 2023. 9. 18.
필리핀인과 한국인이 국제결혼을 한 경우 배우자와 자녀의 국적은? 필리핀인과 한국인이 국제결혼을 하면 배우자와 자녀의 국적은 어떻게 될까? 일단 필리핀인 배우자부터 살펴보면 한국인과 결혼했다고 하여 바로 한국 국적을 취득하는 것은 불가하다. 하지만 결혼한 당사자(필리핀인)가 한국인 배우자와 혼인한 상태로 대한민국에 일정 기간 이상 거주했다면 간이귀화가 가능하다. 대한민국의 국적 취득 후에는 취득일부터 1년 이내에 외국 국적을 포기하거나 상실하는 절차를 밟아야만 하지만 정상적으로 혼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혼인 귀화자의 경우 대한민국에서 외국 국적을 행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외국국적불행사서약'을 하면 복수국적도 허용된다. 그렇다면 자녀는 어떻게 될까? 필리핀인과 한국인의 국제결혼으로 태어난 자녀의 경우 필리핀 국적자인 부(父) 또는 모(母)보다 한국 국적 취득이 상대적.. 2023. 8. 23.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인] 부 또는 모가 필리핀 국적자인 아이들의 수는? 한국에 살고 있는 외국인주민의 자녀 중 필리핀인의 자녀의 수는 얼마나 될까? 행정안전부에서 발표한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2021년을 기준으로 외국인 또는 귀화한 자의 자녀로서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에 따라 출생과 동시에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녀는 총 27만 명이다. 아버지 또는 어머니가 한국인과 결혼한 필리핀 사람인 미성년자 아이는 24,450명으로 베트남, 중국, 중국(한국계) 다음으로 많다. 국적법 제2조(출생에 의한 국적취득) 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출생과 동시에 대한민국 국적(國籍)을 취득한다. 1. 출생 당시에 부(父) 또는 모(母)가 대한민국의 국민인 자 2. 출생하기 전에 부가 사망한 경우에는 그 사망 당시에 부가 대한민국의 국민이었던 자 3. 부모가 .. 2023. 8. 21.